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또래놀이행동과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이용수  8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play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신수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1호, 171~19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5세반 재원 시기 또래놀이행동과 초등학교 2학년 시기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초등학교 1학년 시기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7차 년도(2014년), 8차 년도(2015년), 9차 년도(2016년)에 참여한 아동 총 658명이었다. 변인별 조사 시점에 따라, 또래놀이행동은 7차 데이터를, 집행기능곤란은 8차 데이터를, 학업수행능력은 9차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SPSS 26.0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경로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또래놀이행동의 모든 하위 변인과 집행기능곤란 및 학업수행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놀이행동과 학업수행능력과의 관계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집행기능 곤란은 놀이상호작용과 학업수행능력과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를, 놀이방해와 학업수행능력과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를, 놀이단절과 학업수행능력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의 증진을 위해서 유아기 긍정적인 또래놀이행동을 장려하는 것과 집행기능 곤란을 낮추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in the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play interaction in 5-year-olds and the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in the second year of elementary school. A total of 658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eventh year (2014), eighth year (2015) and ninth year (2016)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Questionnaire was includ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time of investigation by variable, the 7th data were used for peer play interaction; the 8th data were used for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and the 9th data were used for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and bootstrap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pathway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or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areas of peer play interaction and total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and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sub-areas of peer interac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play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difficulty in executive fun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intera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interfer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mplete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and a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disconnec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encouraging positive peer play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and lowering difficulties in executive function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수진. (2022).또래놀이행동과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 (1), 171-194

MLA

신수진. "또래놀이행동과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1(2022): 171-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