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중심 동극활동의 실행

이용수  8

영문명
Implementation of Infant-centered Drama Activities Using a Wordless Picture Book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조혜란 곽승주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1호, 39~6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하여 유아가 중심이 되는 동극을 전개하고, 그 과정에서 유아들에게 나타나는 교육적 변화와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행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S어린이집 만 5세 행복반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총 12주 동안 동극활동을 진행하면서 참여관찰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1차 실행과정은 ‘허용된 분위기 속에서 그림책과 친숙해지며 자유롭게 이야기 꾸미기’, ‘맡은 역할에 책임감을 가지고 동극 준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유아들의 평가과정을 중시하며 새로운 아이디어 적극 반영하기’로 나타났다. 2차 실행에서는 ‘교사의 적극적인 발문 속에서 극작가 유아들과 보다 풍성한 이야기로 만들어가기’, ‘유아의 자기 경험을 기반으로 한 자발적인 참여 확대’로 전개되었다. 3차 실행은 ‘보다 생동감 있게 유아들의 몰입을 이끄는 대화중심의 동극 만들기’, ‘문제 상황에 기초한 토의 중심의 동극활동 준비 및 전개하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유아 중심 동극활동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육적 변화와 의미는 ‘새로운 생각과 아이디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 가는 유아들’, ‘능동적인 참여와 또래와의 협력 속에서 즐거움을 만끽하는 유아들’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다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유아 동극활동 실행에 필요한 기초자료 및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drama centered on infants by using picture books without writing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and to examine the educational changes and meanings that appear in infants during the process. To this end, by applying a practical research method,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hile conducting drama activities for a total of 12 weeks for 20 infants in the 5-year-old happiness class at the S daycare center alone. As a result, first, the first implementation process was “becoming familiar with picture books in an allowed atmosphere and freely decorating stories,” “Actively participating in preparing a drama with responsibility for its role,” and “respecting the evaluation process of infants and actively reflecting new ideas.” In the second round of implementation, it was developed into “making a richer story with playwright infants in the active interrogation of teachers” and “voluntary expansion of participation based on infants" own experiences.” The third implementation consisted of the processes of ‘creating a dialogue-oriented drama that leads infants to immerse themselves more vividly’ and ‘preparing and developing discussion-oriented drama activities based on problematic situations. Second, the educational changes and meanings that appeared in the implementation of infant-centered drama activities were “infants expressing new thoughts and ideas in various ways” and “infants who enjoy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with pe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ic data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more voluntary and active infant drama activiti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we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란,곽승주. (2022).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중심 동극활동의 실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 (1), 39-68

MLA

조혜란,곽승주.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중심 동극활동의 실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1(2022): 39-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