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의 얼굴표정에 대한 예비교사의 정서인식 : 인종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2
- 영문명
-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Children's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 Focusing on Racial Differenc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정정희 배정옥 최성묵 정효진 이지연 이효림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1호, 195~21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얼굴표정에 대한 예비교사의 정서인식을 인종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목적 수행을 위해 유아 · 초 · 중등 예비교사 40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Schultz, Izard, & Bear(2004)가 개발한 ACES(Assessment of Children"s Emotion Skills)와 한국판 ACES 의 얼굴표정 섹션에 제시된 아동얼굴표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의 한국아동과 외국아동에 대한 얼굴표정 인식의 정확성과 정서강도 인식은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정서유형별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의 한국아동의 정서인식 정확도가 외국 아동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강도의 경우, 한국아동에서는 기쁨과 슬픔이, 외국아동의 경우 분노와 공포가 강하게 표출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정서유형별로는 기쁨을 가장 정확히 인식하고 공포 정서에 대한 인식 정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교육에서 아동들의 얼굴표정을 통한 정서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종에 따른 교사의 정서인식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motion recognition of preservice teachers for children’s facial expressions, focusing on differences according to rac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405 preservice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using the initial version of ACES developed by Schultz, Izard., & Bear(2004), and the Korean version of ACE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of children’s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differed according to race. The recognition accuracy scores for Korean childr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oreign counterparts. In terms of emotional type, the participants showed the highest accuracy scores for ‘joy’ and the lowest for ‘fear.’ Given the centrality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in educating young learners, the current findings have important bearing 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IV. 논의와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레오 리오니 그림책에 나타난 대화주의의 다성성
- 영유아 교육·보육 만족도 국제 비교 연구
- 코로나19를 경험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제안에 대한 질적 탐구
- 유아 교사의 인권감수성이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권리존중인식의 매개 효과
- 강경수 작가의 『고민 해결사 펭귄 선생님』 평론
- 그림책 『알사탕』의 온라인 독자 서평 분석 연구 : 소통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중심 동극활동의 실행
- 글 없는 그림책의 철학적 함의 : 호모 이마고에 대한 탐색적 고찰
- 만 5세 유아의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에 나타난 내러티브의 의미
- 독서 관련 유튜브 방송의 자막 특성 연구
- 또래놀이행동과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 연령 간 일상적 교류를 위한 런치 버디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 연구
-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가 유아교사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정 모 애착 안정성과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의 관계: 아버지 공감 능력의 매개 효과
- 아동의 얼굴표정에 대한 예비교사의 정서인식 : 인종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