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 교육·보육 만족도 국제 비교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Satisfaction with Children's Education and Childcar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희 박지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1호, 237~2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부모의 보육만족도를 알아보고, EU 국가들과 비교하여, 우리나라 부모의 보육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7세 이하 자녀를 둔 유럽 33개국과 우리나라 부모들이었고, 국가별로 100∼300 여명이 대상이었다. 자료 분석방법으로 먼저, 우리나라의 주요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교육·보육 만족도를 t검증, F검증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국가별 비교를 위해 각 개별 문항 값에 대한 비교와 5개 문항을 통합한 점수 값에 대한 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영유아 부모는 평균값이 10점 만점에 8점 이상으로 어느 정도 교육·보육에 대해 만족하고 있지만, 만족도 수준은 유럽 국가들 중 18위로 중위권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부모의 교육·보육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재정 투입 방향성을 고민해야 하며, 유럽 국가들처럼 부모의 교육·보육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Korean parents’ satisfaction with childcare and compare it with that of European countries. Through the results, we tried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Korean parents with child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rents from 33 countries in Europe and Korea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7 years. About 100 to 300 people participated in each country. As a data analysis method, first,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childcare according to major demographic variables in Korea was examined by t-test and F-test. Next, for the country-by-country comparison, each individual item value was compared and the score value integrating five questions was compar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parents of children in Korea were somewhat satisfied with education and childcare, with an average value of 8 or more out of 10. Compared to European countries,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education and childcare for parents of children in Korea was ranked 18th, placing it in the middl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eriously consider the direction of financial input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Korean parents with education and childcare. In addition, as in European countries, various efforts will be needed to improve parents"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childca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레오 리오니 그림책에 나타난 대화주의의 다성성
- 영유아 교육·보육 만족도 국제 비교 연구
- 코로나19를 경험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제안에 대한 질적 탐구
- 유아 교사의 인권감수성이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권리존중인식의 매개 효과
- 강경수 작가의 『고민 해결사 펭귄 선생님』 평론
- 그림책 『알사탕』의 온라인 독자 서평 분석 연구 : 소통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중심 동극활동의 실행
- 글 없는 그림책의 철학적 함의 : 호모 이마고에 대한 탐색적 고찰
- 만 5세 유아의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에 나타난 내러티브의 의미
- 독서 관련 유튜브 방송의 자막 특성 연구
- 또래놀이행동과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 연령 간 일상적 교류를 위한 런치 버디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 연구
-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가 유아교사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정 모 애착 안정성과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의 관계: 아버지 공감 능력의 매개 효과
- 아동의 얼굴표정에 대한 예비교사의 정서인식 : 인종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