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 5세 유아의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에 나타난 내러티브의 의미

이용수  3

영문명
The Meaning of the 5-year-old Children’s Narratives Implied in the Narrative Thinking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서효진 박선희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1호, 117~15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내러티브의 의미를 연구함으로써 유아 내러티브의 의미를 이해하고 유아 개인과 집단에 대해 더 잘 이해함으로써 교사가 유아에게 유능한 상호작용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림책 8권을 선정하여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을 구성하고, O시에 소재하는 Y유치원 방과 후 학급의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내러티브의 의미는 첫째, 또래와 함께 형성되는 자아, 타인과 비교를 거부하는 독특하고 특별한 나, 타인과 연결된 나의 소망, 나의 바람 등을 내포한 ‘타자를 통해 알게 되는 나’, 둘째, 현실적 추론에 의한 상상과 공상에 의한 상상의 즐거움이 공존하는 ‘현실과 공상의 경계를 허무는 상상하기’, 셋째, 교사의 관심을 받고 싶은 욕구, 가족에 대한 양가감정, 다투는 친구, 같이 놀고 싶은 친구 등 ‘유의미한 타자와의 관계 표현’, 넷째, 이야기하면서 비로소 이해되는 상황과 어휘, 나와 타인의 마음 읽기 등을 통한 ‘유아기에 필요한 사회적 기술과 인지 기능 습득’ 등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개별 유아의 내러티브의 의미를 이해하여 개별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찰과 기록을 통해 유아 내러티브 의미해석의 역량을 기르는데 주력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ndividual preschoolers by interpreting the meanings of their narratives in narrative thinking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The study selected 8 picture books suitable for narrative thinking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wenty 5-year-old preschoolers who attended Y Kindergarten in the after-school program in O City,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choolers began to form self-awareness through other people. Their narratives involved ‘the self formed with peers’, ‘unique and special me refusing to compared with others’, and ‘my desire and wish connected to others.’ Second, preschoolers told their imaginary stories by breaking down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fantasy. Their narratives involved ‘imagination through reasoning grounded in reality’ and ‘pleasure of imagination through fantasy.’ Third, preschoolers talked about significant others related to their lives through ‘the need to teacher"s attention’, ‘ambivalent feelings about the family’, and ‘friends they quarrel with and those they want to play with’. Fourth, they acquired social skills and cognitive functions needed in infancy constructing meanings about the world through ‘situations and words not understood until they began to tell stories’, and ‘reading my own mind and others" mi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s should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meanings of young children"s narratives and interact with individual childre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need deeply observe and record individual preschoolers" narratives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ir narrativ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 내러티브의 의미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효진,박선희. (2022).만 5세 유아의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에 나타난 내러티브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 (1), 117-150

MLA

서효진,박선희. "만 5세 유아의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에 나타난 내러티브의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1(2022): 117-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