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령 간 일상적 교류를 위한 런치 버디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 연구
이용수 1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Lunch buddy program for the daily Cross-aged transaction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1호, 213~2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연령 간 상호작용이 매우 제한되어 있는 우리의 교육현장에서 단일연령 학급유아들의 일상적인 연령 간 교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점심시간을 활용한 런치 버디프로그램을 유치원 만 3세와 5세 단일연령 학급 유아들에게 적용하고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이 어떻게 프로그램을 인식하고 경험하는지, 유아들과 함께 어떻게 프로그램을 만들어가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되는 전 과정에서 동영상 및 사진, 유아관찰, 교사면담 및 질문지, 활동 결과물, 연구일지 등을 자료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경험은 ‘학급 간 만남에 기대감 갖기 및 어려움 경험하기, 버디관계에 대해 관심 갖기 및 혼합연령 상황에서의 유아 이해하기, 유아들의 변화 경험하기’ 세 가지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이 유아들과 함께 버디 프로그램을 만들어가는 과정은 ‘유아들에게 적절한 짝구성하기, 긍정적 분위기 조성하기, 협력하는 상황 만들기, 다양한 방안 제시하기’ 네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는 일상적 교육과정 안에서 단일연령 학급 간 교류를 시도하여 보다 실제적으로 유아들의 연령 간 상호작용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런치 버디 프로그램은 단일연령 학급구성과 혼합연령 학급구성의 단점을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of daily cross-aged interactions between same-aged classrooms in the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here interactions between ages are very limi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cross-age buddies were grouped with 22 children from a 3-year-old classroom and 32 children from a 5-year-old classroom in a kindergarten. It was explored what the teachers conceived and experienced with the program and which participation activity did they make to manage the program with the young children. During the entire period of the program, various data such as videos, photos, children’s observation diaries, teacher interview diaries, questionnaires, activity results, and research repor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faced the following experiences such as ‘expectations and difficulties with the cross-aged meetings’, ‘interest in buddy relationships’, ‘understanding children in mixed age situations’ and ‘observing young children’s changes during the program’. Second, the teachers and children built the program with the following participation activities: "forming a suitable pair for the young children’, ‘creating a positive atmosphere’, ‘creating a collaborative situation’ and ‘suggesting various other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suggests a practical way of activating cross-aged transactions with the daily curriculum.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lunch buddy program could be a good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both the same-aged and the mixed-aged grouping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레오 리오니 그림책에 나타난 대화주의의 다성성
- 영유아 교육·보육 만족도 국제 비교 연구
- 코로나19를 경험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천 및 제안에 대한 질적 탐구
- 유아 교사의 인권감수성이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유아권리존중인식의 매개 효과
- 강경수 작가의 『고민 해결사 펭귄 선생님』 평론
- 그림책 『알사탕』의 온라인 독자 서평 분석 연구 : 소통을 중심으로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중심 동극활동의 실행
- 글 없는 그림책의 철학적 함의 : 호모 이마고에 대한 탐색적 고찰
- 만 5세 유아의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에 나타난 내러티브의 의미
- 독서 관련 유튜브 방송의 자막 특성 연구
- 또래놀이행동과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에서 집행기능곤란의 매개효과
- 연령 간 일상적 교류를 위한 런치 버디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 연구
-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유아교육기관의 협동적 조직문화가 유아교사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정 모 애착 안정성과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의 관계: 아버지 공감 능력의 매개 효과
- 아동의 얼굴표정에 대한 예비교사의 정서인식 : 인종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