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 없는 그림책의 철학적 함의 : 호모 이마고에 대한 탐색적 고찰

이용수  5

영문명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extless Picture Books in the Age of Digital Images : Focusing on Exploratory Considerations on Homo Imago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강주희 이대균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3권 제1호, 69~9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미지로 생각할 수 있는 인간’인 ‘호모 이마고(Homo Imago)’에 대한 탐색적 고찰을 중심으로 디지털 이미지 시대에 글 없는 그림책(Wordless Picture Book)의 철학적 함의를 살펴보는 데 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Ⅱ장에서는 ‘이미지(Image)’의 어원을 중심으로 그 개념을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Ⅲ장에서는 시각 이론과 매체에 따른 인간의 지각방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호모 이마고(Homo Imago)에 대한 탐색적 고찰이 이루어졌다. 이후, Ⅳ장에서는 호모 이마고(Homo Imago)에 관한 고찰의 내용을 중심으로 디지털 이미지 시대에 글 없는 그림책(Wordless Picture Book)이 갖는 철학적 함의는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글 없는 그림책이 갖는 철학적 함의를 중심으로 유아문학교육에서 글 없는 그림책(Wordless Picture Book)은 어떻게 볼 것인지에 관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이미지 시대의 글 없는 그림책(Wordless Picture Book)이 갖는 철학적 함의를 살펴봄으로써, 미래에 유아문학교육의 방향성을 재고(再考)하기 위한 철학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wordless picture books in the era of digital images, focusing on an exploratory study on ‘Homo Imago,’ a ‘human who can think in images.’ To this end, Chapter II tried to examine the concept focusing on the etymology of ‘Image,’ and Chapter III the understanding of human perception according to visual theory and media After an exploratory study on Homo Imago, Chapter IV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review on Homo Imago to examine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Wordless Picture Books in the digital image era. Finally, in Chapter V, focusing on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picture books without text, we tri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how to view wordless picture books in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By examining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wordless picture books, the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a philosophical forum for rethinking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utur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미지에 대한 개념적 고찰: 이미지의 어원을 중심으로
Ⅲ. 인간의 지각방식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살펴 본 호모 이마고(Homo Imago)에 대한 탐색적 고찰
Ⅳ. 디지털 이미지 시대의 글 없는 그림책의 철학적 함의
Ⅴ. 나오면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주희,이대균. (2022).글 없는 그림책의 철학적 함의 : 호모 이마고에 대한 탐색적 고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 (1), 69-91

MLA

강주희,이대균. "글 없는 그림책의 철학적 함의 : 호모 이마고에 대한 탐색적 고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1(2022): 69-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