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색채심리성격유형분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진로와 창업 교육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or Character Type Analysis Measurement Tool: Focusing on Its Applicability to Career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저자명
김보민(Bomin Kim) 황현희(Hyeonhee Hwang) 이성심(Sungsim Lee)
간행물 정보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5호, 245~26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의 성격과 특성을 간결하게 정의하고 이를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려는 문화적 경향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팬데믹과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과 맞물리며, 자기이해를 돕는 다양한 성격유형 검사가 주목받는 배경이 되었다. 이와 함께 색채는 하나의 시각적 요소를 넘어 심리·정서적 상징성을 지니며, 성격유형과의 연관성을 탐색하는 중요한 단서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색채심리성격유형분석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색채심리성격유형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예비로 선정된 135개 문항에 대해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54개 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전국의 20대 이상 성인 307명을 대상으로 초기 문항을 적용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색채심리성격유형분석 검사는 9가지 색채를 요인으로 하며 각 영역이 5문항씩 총 45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또한, 내적 일관성과 신뢰도가 확보되었으며, 수렴타당도·판별타당도·교차타당도가 모두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도구는 색채의 동기·인지·행동 특성을 기반으로 성격유형을 진단할 수 있으며, 개인 자아 이해를 바탕으로 한 진로 탐색과 창업 역량 이해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contemporary society, there is an emerging cultural tendency to delineate individual personality and traits in a succinct manner, leveraging this knowledge to enhance self-awareness and facilitate understanding of others. This phenomenon has been further exacerbated by the societal anxieties engendered by the pandemic and the rapid advancements in digital technologies, which have directed attention toward various personality assessments that facilitate self-understanding. Concurrently, color is regarded not solely as a visual element but also as bear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ymbolism, thereby functioning as a crucial clue in exploring its relationship with personality types.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endeavored to develop and validate a diagnostic instrument for Color Character Type Analysis (CCTA) grounded in the principles of color psychology. First, a review of prior research was conducted to derive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components of color-character types. This was followed by the creation of 135 preliminary item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rigorous expert content validity testing, the initial pool of items was reduced to a total of 54. Secondly, data were collected from 307 adults aged 20 and above nationwide,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s well a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CCTA test comprises nine color factors, each of which is represented by five items, resulting in a total of 45 items. Furthermore, the study established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and verified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ross-validity. Consequently, the diagnostic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is capable of identifying personality types based on motiva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olor. Furthermore, it can function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career explo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competencies, both of which are grounded in personal self-understand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민(Bomin Kim),황현희(Hyeonhee Hwang),이성심(Sungsim Lee). (2025).색채심리성격유형분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진로와 창업 교육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9 (5), 245-268

MLA

김보민(Bomin Kim),황현희(Hyeonhee Hwang),이성심(Sungsim Lee). "색채심리성격유형분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진로와 창업 교육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9.5(2025): 245-2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