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Assessing the Maturity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s: An IPA-Based Resource-Performance Typology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이효원(Hyowon Lee) 임은주(Eunju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5호, 229~24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산학협력단의 자원-성과 구조를 진단하고 대학별 특성을 반영한 정책적 개입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산학협력단은 2003년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연구비 관리와 계약 체결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2011년 전면 개정과 2024년 개정을 거치며 기술이전, 창업지원, 현장실습 등 다양한 기능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2024년 개정에서는 기능별 전담조직 설치와 회계 분리 근거가 마련되어 제도적 기반이 한층 강화되었다. 그러나 대학별 산학협력단은 인력 규모, 재정 여건, 성과 수준에서 뚜렷한 격차를 보이고 있으며, 획일적 지원정책은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과 성과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에 근거하여 전담 인력과 재정 성과를 핵심 지표로 설정하고,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변형 적용하여 기능 성숙도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연구 자료는 2024년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공동 실시한 「대학 산학협력활동 실태조사」 원자료이며, 분석 대상은 일반대학 183개교이다. 분석 결과, 산학협력단은 저투입·저성과형 104개교(56.8%), 고투입·저성과형 50개교(27.3%), 저투입·고성과형 1개교(0.5%), 고투입·고성과형 28개교(15.3%)로 유형화되었다. 이는 전국적으로 산학협력단이 전반적으로 미성숙 단계에 머물러 있음을 보여주며, 일부 대학만이 자원과 성과를 동시에 확보해 성숙 단계에 진입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단일 지표 중심의 기존 연구와 달리 자원과 성과를 동시에 고려하여 전국 단위에서 불균형 구조를 유형화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정책적으로는 최근 「산학연협력 촉진법」 개정과 연계해 대학별 역량 차이를 반영한 차별화된 지원 전략을 제시한다. 다만 성과 지표를 현금 유입액에 한정했다는 점, 단일 연도 자료에 국한된 횡단면 분석이라는 점, 정성적 요인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재정 성과와 질적 성과를 통합한 다차원적 지표 설계, 장기적 시계열 분석, 정성·정량적 방법의 융합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산학협력단의 발전 경로를 정교하게 규명하고, 유형별 단계적 성장 루틴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실질적인 정책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agnoses the resource-performance structure of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s(UICFs) and proposes policy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reflect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Since the enactment of the Industrial Education Promotion and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Act in 2003, UICFs have primarily managed research contracts and funding. However, major revisions in 2011 and 2024 expanded their functions to technology transfer, startup support, and industry internships. In particular, the 2024 amendment reinforced their institutional foundation by mandating function-specific organizations and independent accounting systems. Despite these developments, UICFs across the nation still exhibit significant disparities in staffing, financial resources, and performance outcomes, while uniform support policies have been criticized for inefficiency and widening performance gaps.
Drawing on the Resource-Based View(RBV), this study applied a modifi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o classify the functional maturity of UICFs. Using raw data from the 2024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Survey joint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183 general universities were analyzed. Staff size was defined as a proxy for resources, and cash inflow (research and education revenue) was used as a performance indicator. The results revealed four types: low input-low output(56.8%), high input-low output(27.3%), low input-high output(0.5%), and high input-high output(15.3%). More than half of the universities remain at the basic stage, while only a minority have simultaneously secured resources and outcomes to reach maturity.
Academically, this study contributes by visualizing nationwide imbalances in UICFs’ resource-performance structures, moving beyond prior single-indicator analyses. Policy-wise, it offers empirical evidence for differentiated support strategies aligned with the recent amendment of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Promotion Act. Limitations include restricting performance to financial outcomes, reliance on cross-sectional data, and insufficient reflection of qualitative factors. Future research should adopt multidimensional performance indicators, conduct longitudinal analyses, and integrate qualitative methods to refine UICF maturity models and provide more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 안동소주 사례를 통한 글로컬 문화산업화 전략 연구
- 건설산업에서 비인격적 감독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과 직무과부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eckman 표본선택모형을 활용한 퇴직 중장년층의 재취업과 임금결정요인 분석
- 소비자 혁신성이 생성형 AI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디자인씽킹 교육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 대졸자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무일치도, 자기효능감, 직장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LDA와 NMF 토픽 모델링 기반의 MZ세대 퇴사 인식 탐색 : 유튜브 퇴사 브이로그 웹 크롤링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산학협력단 성숙도 진단에 관한 탐색적 연구: IPA 기반 자원-성과 유형화
- 색채심리성격유형분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진로와 창업 교육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채용단계별 공정채용의 핵심 주제의 탐색적 연구
- 대학 창업교육 평가인증모형 구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 ESG성과와 재무성과: ESG 생태계 관점의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