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Satisfaction Level of College Life and the Level of Job Match, Self-efficacy,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Graduate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배성숙(Sungsook Bea)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5호, 189~20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졸자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무일치도, 자기효능감, 직장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에서 제공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Ⅱ 7차년도(2023) 자료를 활용하여 대졸 청년 취업자 27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만족도는 직무일치도와 자기효능감 및 직장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일치도와 자기효능감은 직장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만족도는 직장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무일치도와 자기효능감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은 재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면 직무일치도와 자기효능감이 제고되고, 궁극적으로 직장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satisfaction level of college life and the level of job match, self-efficacy,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graduates. To accomplish this task, the data from the 7th year (2023) of the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Survey conducted on 276 young college graduates, provid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level of job match, self-efficacy,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Second, the level of job match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but also indirectly affect through the level of job match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proposed that increasing th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urrent students’ college life can improve the level of job match and self-efficacy after employment, and ultimately increas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 안동소주 사례를 통한 글로컬 문화산업화 전략 연구
- 건설산업에서 비인격적 감독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과 직무과부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eckman 표본선택모형을 활용한 퇴직 중장년층의 재취업과 임금결정요인 분석
- 소비자 혁신성이 생성형 AI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디자인씽킹 교육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 대졸자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무일치도, 자기효능감, 직장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LDA와 NMF 토픽 모델링 기반의 MZ세대 퇴사 인식 탐색 : 유튜브 퇴사 브이로그 웹 크롤링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산학협력단 성숙도 진단에 관한 탐색적 연구: IPA 기반 자원-성과 유형화
- 색채심리성격유형분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진로와 창업 교육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채용단계별 공정채용의 핵심 주제의 탐색적 연구
- 대학 창업교육 평가인증모형 구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 ESG성과와 재무성과: ESG 생태계 관점의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