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Job Satisfaction among Corporate R&D Employee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발행기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저자명
이현수(Hyunsoo Lee) 남정민(Jungmin Nam)
간행물 정보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5호, 41~5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업에서 연구개발직군은 불확실성과 실패의 가능성이 있지만,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여 국가나 기업의 성장과 혁신, 고용 창출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연구개발직원을 대상으로 직무만족에 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혁신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 조직신뢰가 각각 직무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여부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여부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각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데이터는 2023년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ll차 WAVE 데이터 중에서 연구개발인력 7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6.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rocess Macro 14번 모델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직무만족에 혁신지향문화와 조직신뢰는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계지향문화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신뢰에 혁신지향문화와 위계지향문화는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신뢰를 매개로 혁신지향문화와 직무만족 간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위계지향문화와 직무만족 간에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혁신지향문화 및 위계지향문화와 직무만족 간에는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관한 시사점으로 첫째, 기업 연구개발직군만을 대상으로 직무만족 관련 선행연구 변인 간 직접 영향, 매개효과 여부,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과 기업 경쟁력 확보 방안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companie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ositions, despite the uncertainties and potential for failure,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by developing new technologies, fostering national or corporate growth, innovation, and job cre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innovation-oriented culture, hierarchy-oriented culture) and organizational trust direct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among corporate R&D employee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o achieve this, specific hypotheses were set and analyzed. For this research purpose, data from 781 R&D personnel, selected from the 2023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Wave II data, were us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6.0 statistical software, specifically applying Process Macro Model 1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organizational trus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However, hierarchy-oriented culture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Second, both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Thir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was observed between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while a full mediating effect was found between hierarchy-oriented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Four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innovation-oriented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s and job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academic, by confirming the direct effects,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among variable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targeting corporate R&D personnel. Additionally,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regarding strategies for secur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가설 설정 및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수(Hyunsoo Lee),남정민(Jungmin Nam). (2025).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9 (5), 41-58

MLA

이현수(Hyunsoo Lee),남정민(Jungmin Nam).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9.5(2025): 4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