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Influe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Generative AI Usage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최선영(Seonyeong Choi) 이규진(Gyujin Lee) 이환수(Hwanso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5호, 125~1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hat GPT 출시 이후 생성형 AI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이해하고 이를 충족하는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하지만 생성형 AI는 기존과 다른 신기술이기 때문에 이용자의 성향, 목적에 따라 일반적인 이용 행태와는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생성형 AI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이해하고 이를 충족하는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소비자 혁신성을 기능적 혁신성, 쾌락적 혁신성, 사회적 혁신성, 인지적 혁신성으로 세분화한 다차원적 소비자 혁신성이 생성형 AI 이용 및 유료 전환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 목적에 따른 유료 전환 여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발표한 ‘2024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능적 혁신성과 쾌락적 혁신성은 생성형 AI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사회적 혁신성과 인지적 혁신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한편 소비자 혁신성은 유료 전환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고, 유료 전환 여부는 이용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 혁신성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 기술 수용 모델을 확장했다는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또한 유료 전환을 위해서는 소비자 혁신성보다는 이용 목적에 특화된 서비스 제공이 더 효과적이라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Since the launch of ChatGPT, the rapid expansion of generative AI has made it increasingly important to understand diverse user needs an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to address them. However, as generative AI represents a new technology distinct from existing ones, user behavior may vary from conventional patterns depending on individual traits and purposes. This study examines how multidimensional consumer innovativeness, categorized as functional, hedonic, social, and cognitive, influences the adoption and paid conversion of generative AI. It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usage purpose and paid conversion. The analysis utilizes data from the 2024 Korean Media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The findings indicate that functional and hedonic innovativeness positively affect generative AI adoption, while social and cognitive innovativeness have a negative effect. Consumer innovativeness was not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paid conversion. However, the study reveals that the likelihood of paid conversion vari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user's purpos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academic literature by expand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roug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consumer innovativenes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 results suggest that for successful paid conversion, offering services tailored to specific usage purposes is more effective than solely focusing on a consumer's general innovativen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모형 및 가설
Ⅳ. 연구 방법론
V. 분석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 안동소주 사례를 통한 글로컬 문화산업화 전략 연구
- 건설산업에서 비인격적 감독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과 직무과부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eckman 표본선택모형을 활용한 퇴직 중장년층의 재취업과 임금결정요인 분석
- 소비자 혁신성이 생성형 AI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디자인씽킹 교육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 대졸자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무일치도, 자기효능감, 직장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LDA와 NMF 토픽 모델링 기반의 MZ세대 퇴사 인식 탐색 : 유튜브 퇴사 브이로그 웹 크롤링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산학협력단 성숙도 진단에 관한 탐색적 연구: IPA 기반 자원-성과 유형화
- 색채심리성격유형분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진로와 창업 교육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채용단계별 공정채용의 핵심 주제의 탐색적 연구
- 대학 창업교육 평가인증모형 구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 ESG성과와 재무성과: ESG 생태계 관점의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