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local Cultural Industrialization Strategie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The Case of Andong Soju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전미경(Mikyung Jeon) 이혁재(Hyukja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5호, 59~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K-컬처로 대표되는 세계적 한류 열풍의 이면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지역문화산업의 취약한 경쟁력과 낮은 자생력 문제를 심층적으로 조명한다. 특히 수도권 중심의 자본·인프라 집중과 지역 청년층 유출, 전통문화의 현대적 산업화 부진 등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 고유의 문화정체성을 보존하면서도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 경쟁력을 결합하는 ‘글로컬(Glocal) 문화산업화’ 전략을 제시한다. 사례지로는 역사·문화유산과 관광자원을 보유한관광 거점도시 안동을 선정하였으며, 대표 문화자원으로 700여 년의 전통과 장인정신을 계승한 향토 증류주 ‘안동소주’를채택하였다. 연구 방법은 안동소주 관련 산업 분야에서 활동하는 양조·유통·관광·브랜딩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인터뷰(FGI)이며, Gioia 방법론을 적용하여 현장의 경험과 통찰을 이론적 개념으로 체계화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적인 글로컬 문화관광 산업화를 위해 다음의 네 가지 핵심 전략이 도출되었다. 첫째, 지역 고유 문화원형의 핵심 가치를 발굴하고 현대적 맥락 속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차별화된 매력의 원천을 확립해야 한다. 둘째, 원형 자원을기반으로 관광객이 오감으로 체험할 수 있는 다각적·통합적 문화관광 콘텐츠를 개발·확장해야 한다. 셋째, ‘로컬 정체성’ 과 ‘글로벌 보편성’을 조화시키는 정교한 글로컬 브랜딩 및 시장별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하기 위해 민·관·학·연이 참여하는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분야별 전문 인적자원 양성 및 체계적인 글로벌 시장 개척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 자원이 단순한 관광 소재를 넘어, 지역 정체성과 글로벌 트렌드를 아우르는 고부가가치 문화관광 콘텐츠로 진화할 수 있는 실질적 전략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문화다양성 증진, 국가 차원의 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향후 다양한 지역과 문화자원에 적용 가능한 보편성과 실천성을 동시에 갖춘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weak competitiveness and limited self-sustainability of regional cultural industries, an issue often overlooked amid the global success of K-Culture and the Korean Wave. In particular, it addresses structural challenge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capital and infrastructur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outmigration of young talent from local communities, and the sluggish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to viable industries. As a solution, the study proposes a Glocal Cultural Industrialization strategy that preserves the unique cultural identity of a region while integrating globally competitive capabilities. The case site selected was Andong, a designated tourism hub city rich in historical, cultural, and heritage resources. Within Andong, the representative cultural asset chosen was Andong Soju, a traditional distilled liquor with over 700 years of heritage and craftsmanship. The research employe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ith seven experts engaged in brewing, distribution, tourism, and branding sectors related to Andong Soju, applying the Gioia methodology to systematically translate field-based experiences and insights into theoretical concepts.
The analysis yielded four core strategies for successful glocal cultural tourism industrialization. First, identify the core values of the region’s cultural archetypes and reinterpret them in a modern context to establish a distinctive source of appeal. Second, develop and expand multi-sensory, integrated cultural tourism content grounded in these archetypes. Third, design sophisticated glocal branding and market-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that harmonize local identity with global universality. Fourth, secure sustainable growth by building cooperative governance involving the public sector, private enterprises,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ions, while fostering specialized human resources and systematically pursuing global market expansion. By presenting a practical strategic model, this study demonstrates how regional cultural assets can evolve beyond mere tourism attractions into high value-added cultural tourism content that bridges local identity and global trends. The findings contribute actionable insights for revitalizing local economies, enhancing cultural diversity, and promoting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while offering strategies with both generalizability and applicability to a variety of regions and cultural resour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 안동소주 사례를 통한 글로컬 문화산업화 전략 연구
- 건설산업에서 비인격적 감독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과 직무과부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eckman 표본선택모형을 활용한 퇴직 중장년층의 재취업과 임금결정요인 분석
- 소비자 혁신성이 생성형 AI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디자인씽킹 교육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 대졸자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무일치도, 자기효능감, 직장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LDA와 NMF 토픽 모델링 기반의 MZ세대 퇴사 인식 탐색 : 유튜브 퇴사 브이로그 웹 크롤링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산학협력단 성숙도 진단에 관한 탐색적 연구: IPA 기반 자원-성과 유형화
- 색채심리성격유형분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진로와 창업 교육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채용단계별 공정채용의 핵심 주제의 탐색적 연구
- 대학 창업교육 평가인증모형 구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 ESG성과와 재무성과: ESG 생태계 관점의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