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Resignation Perceptions of the MZ Generation via LDA and NMF Topic Modeling: A Web-Crawling Analysis of YouTube Resignation Vlog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이재은(Jae-e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5호, 209~2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튜브 ‘퇴사 브이로그’ 상위 채널의 댓글 35,501건을 수집하여 LDA와 NMF 토픽 모델링, 워드 클라우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MZ세대 청년층의 퇴사 인식을 탐색하였다. 기본 BoW와 TF-IDF 기반 벡터화를 병행하여 단문·고노이즈 데이터의 한계를 보완하고 잠재 주제 구조를 다층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MZ세대의 퇴사 인식은 ① 퇴사를 자기 주도적 전환과 성장 기회의 출발점으로 수용, ② 직무 스트레스와 갈등 상황에서 적극적 회피 전략으로 퇴사 선택, ③ 위계 중심 조직문화와 괴롭힘 경험으로 인한 퇴사 결정 촉발의 경향성으로 요약된다. 이는 임금·복지와 같은 외재적 요인뿐 아니라 심리적 안전감, 성장 욕구, 인간관계 등 정서·심리적 요인이 핵심 결정 요인임을 보여준다. 특히 ‘태우다’와 같은 직장 내 괴롭힘 관련 키워드는 청년층의 심리적 고통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며, 퇴사를 조직 부적응이 아닌 주변의 지지와 축하를 받을만한 ‘삶의 재정립’ 기회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기반 비정형 텍스트를 활용해 기존 설문 중심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LDA와 NMF를 병행 적용하여 방법론적 확장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MZ세대 퇴사 인식 연구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조직 차원에서는 퇴사 사전 면담 제도화, 심리적 안전 지원 프로그램, 가치 교집합 확장 전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정부 차원에서도 고충 조정 제도 확대 등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young members of the MZ generation perceive resignation and the underlying factors that shape their decision to leave organizations. A total of 35,501 comments from the most viewed “resignation vlogs” on YouTub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word cloud,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Both Bag-of-Words (BoW) and TF-IDF-weighted BoW vectorization were applied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short and noisy social media texts.
The findings reveal three major patterns: (1) resignation is regarded as a self-directed transition and an opportunity for personal growth, (2) resignation is chosen as an active coping strategy in response to job stress and workplace conflicts, and (3)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bullying experiences trigger resignation deci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sychological safety, growth need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as critical as extrinsic factors such as pay and benefits. Notably, keywords such as “bullying” symbolically illustrate the emotional burden of early-career employees and highlight that resignation is increasingly interpreted as a life redefinition rather than mere maladaptation.
Methodologically, this study complements survey-based research by utilizing unstructured social media data and demonstrates the combined value of LDA and NMF in improving interpretability. The study contributes to reframing resignation as a socio-psychological transition event and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Organizations are encouraged to institutionalize pre-resignation interviews, enhance psychological safety programs, and strengthen value alignment strategies, while government-level interventions should expand grievance mediation systems to prevent early resign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 안동소주 사례를 통한 글로컬 문화산업화 전략 연구
- 건설산업에서 비인격적 감독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과 직무과부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eckman 표본선택모형을 활용한 퇴직 중장년층의 재취업과 임금결정요인 분석
- 소비자 혁신성이 생성형 AI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디자인씽킹 교육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 대졸자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무일치도, 자기효능감, 직장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LDA와 NMF 토픽 모델링 기반의 MZ세대 퇴사 인식 탐색 : 유튜브 퇴사 브이로그 웹 크롤링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산학협력단 성숙도 진단에 관한 탐색적 연구: IPA 기반 자원-성과 유형화
- 색채심리성격유형분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진로와 창업 교육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채용단계별 공정채용의 핵심 주제의 탐색적 연구
- 대학 창업교육 평가인증모형 구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 ESG성과와 재무성과: ESG 생태계 관점의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