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Reemployment and Wage Determinants Among Retired Middle-Aged Workers Using the Heckman Selec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이유리(Yuree Lee) 이영민(Young-M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5호, 109~12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퇴직 중장년층의 재취업과 임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26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40~64세 중장년층 중 퇴직 경험이 있는 677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Heckman의 2단계 표본선택모형을 적용하여 재취업 여부 결정 단계와 재취업 후 임금 결정 단계 간의 선택 편의를 보정하였다. 분석 결과, 재취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성별과 건강 상태로 나타났으며, 남성이며 건강 상태가 양호할수록 재취업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재취업자의 임금 수준은 성별, 최종 학력, 건강 상태, 산업 및 직종, 정규직 여부, 근로 형태, 사업체 규모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금융 및 보험업 종사자, 정규직 및 전일제 근로자, 대규모 사업체(1,000인 이상) 소속 근로자는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을 받지만, 판매직, 단순노무직 등은 낮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노동시장 내 구조적 이중성이 임금 수준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중장년층의 성공적인 노동시장 재진입과 생계 안정성 제고를 위해 성별과 건강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 직무 전환을 위한 직업훈련 확대, 고용 형태 개선 등 통합적 정책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재취업 여부와 임금 간 내재된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 임금 분석이 결과 해석을 왜곡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퇴직 전 직장 특성과의 연계를 포함한 종단적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reemployment and wage levels among middle-aged individuals after retirement. It uses an integrated econometric approach. The study utilizes data from the 26th wave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The target sample consists of 677 individuals aged 40 to 64 who experienced retirement. To address potential sample selection bias, the Heckman two-step selection model was employed. This model jointly estimates the determinants of reemployment and subsequent wage level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gender and health statu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bability of reemployment. Men and healthier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be reemployed. Among those who returned to the labor market, wage level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These included gender, education, health status, industry, occupation, employment type (regular vs. irregular, full-time vs. part-time), and firm size. Workers in the finance and insurance sectors, as well as regular full-time employees and those in large firms (with over 1,000 employees), earned higher wages. In contrast, workers in sales or elementary occupations received lower pa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structural dualism in the labor market that influences wage disparities among reemployed middle-aged individual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policy interventions that extend beyond job creation. It emphasizes the need for customized support tailored to gender and health conditions, training for occupational transitions, and improvements in employment quality. The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ignoring the interdependence between reemployment and wage outcomes can lead to biased interpretations of the results.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longitudinal patterns and include pre-retirement employment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 안동소주 사례를 통한 글로컬 문화산업화 전략 연구
- 건설산업에서 비인격적 감독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조직지원인식과 직무과부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eckman 표본선택모형을 활용한 퇴직 중장년층의 재취업과 임금결정요인 분석
- 소비자 혁신성이 생성형 AI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디자인씽킹 교육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력의 매개효과,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 대졸자의 대학생활만족도와 직무일치도, 자기효능감, 직장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LDA와 NMF 토픽 모델링 기반의 MZ세대 퇴사 인식 탐색 : 유튜브 퇴사 브이로그 웹 크롤링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학 산학협력단 성숙도 진단에 관한 탐색적 연구: IPA 기반 자원-성과 유형화
- 색채심리성격유형분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진로와 창업 교육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채용단계별 공정채용의 핵심 주제의 탐색적 연구
- 대학 창업교육 평가인증모형 구안을 위한 탐색적 연구
- ESG성과와 재무성과: ESG 생태계 관점의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