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bSANT (Abstract Semantic Associative Network Training) 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Abstract Semantic Associative Network Training (AbSANT) on Naming Abilities in Individuals with Aphasi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주리(Juri Lee) 성지은(Jee Eun S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3, 603~63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실어증 환자는 단어 인출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특히 사고와 정서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추상 명사 처리에서 더 큰 손상을 보인다. 본 연구는 복잡성 이론과 의미자질 분석(SFA)을 적용한 AbSANT 중재를 추상 명사와 구체 명사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치료효과 및 일반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좌반구 손상으로 실어증을 진단받은 실어증 환자 10명을 추상 명사 및 구체 명사 중재집단으로 나누어 AbSANT 중재를 시행하였다. 결과: 추상 명사 중재집단은 추상 명사에서 치료 효과와 일반화 효과를 보였으나, 구체 명사 중재집단은 치료 효과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명사 대면 이름대기, 실어증 지수, 이야기 설명하기 과제에서 중재 후 유의미한 수행력 증가를 보였다. 의미유창성 과제(가게물건)와 그림 설명하기 과제는 추상 명사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논의 및 결론: 추상 명사 중재는구체 명사로의 일반화를 유도하며, 전반적 언어 능력 및 자발화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dividuals with aphasia experience persistent difficulties in word retrieval, with greater impairments in processing abstract nouns, which are essential for construct ing and conveying thoughts and emotions. This study applied Abstract Semantic Associative Network Training (AbSANT) based on complexity theory and Semantic Feature Analysis (SFA) to two groups categorized by noun types (abstract vs. concrete). The aim was to analyze the treatment effects and generalization effects of AbSANT on naming abilities and overall language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aphasia. Methods: Ten Korean individuals with aphasia due to left hemisphere damag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abstract noun treatment group and a concrete noun treatment group. AbSANT was conducted for both groups. Results: The abstract noun treatment group demonstrated both treatment and generalization effects in the trained category naming task for abstract nouns, whereas the concrete noun treatment group showed only treatment effects. Both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post-treatment improvement in confrontation naming task, aphasia quotient (AQ), and CIU (Correct Information Unit) ratios in storytelling tasks, indicating generalization effects. However, in the verbal fluency task (supermarket) and picture description task,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only in the abstract noun treatment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bstract nouns in aphasia treatment. Abstract noun training not only facilitates generalization to concrete nouns but also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overall language function and spontaneous speech abilities in individuals with aphasia.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리(Juri Lee),성지은(Jee Eun Sung). (2025).AbSANT (Abstract Semantic Associative Network Training) 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 (3), 603-634

MLA

이주리(Juri Lee),성지은(Jee Eun Sung). "AbSANT (Abstract Semantic Associative Network Training) 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3(2025): 603-6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