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valence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in Children Aged 3 to 6: Population-based Stud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윤경(YoonKyoung Lee) 임수아(Suah Lim) 정주형(JuHyeong Jeo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3, 445~45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3-6세 학령전 유아의 언어발달지연 출현율을 성별, 지역, 인지수준을 고려하여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강원특별자치도의 3-6세 유아 중 15.4%인, 총 5,099명의 유아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 유아에게는 K-DST 언어영역 검사를 사용하여 선별검사를 실시하고, 선별검사에서 -1 SD 이하에 해당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PRES와 REVT를 사용하여 심화언어검사를 실시하였다. 선별검사에 참여 유아 중 약 22.5%인 1,145명의 유아에게 심화언어검사가 권고되었으며, 80.7%인 925명의 유아에게 심화언어검사가 실시되었다. 전체 모집단 유아에서 언어발달지연 유아가 차지하는 비율로 출현율을 측정하였으며, 연령, 지역, 인지수준에 따른 출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아동의 10.4%가 DLD로 진단되었으며, 수용언어와 표현언어가 모두 지연된 경우(7.5%)가 표현언어만 지연된 경우(2.9%)보다 출현율이 높았다. 인지수준을 -1 SD 이상으로 제한한 경우는 2.6%, -2 SD 이상으로 한 경우는 6%였다. 연령이 낮을수록 언어발달지연 출현율이 높았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아가 여아에 비해 출현율이 높았다. 지역 규모에 따라서는 소도시나 군 지역이 중도시보다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수행된 국내 최초의 모집단 기반 출현율 조사로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언어발달지연 유아의 출현율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 나아가 이들을 위한 서비스 및 정책을 마련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in preschool children aged 3 to 6 years, considering gender, region, and cognitive level. Methods: A total of 5,099 children, representing 15.4% of all children aged 3 to 6 years in Gangwo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A screening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the language domain of the K-DST (Korean Develop 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 & children) with children below -1 SD on the screening were referred for in-depth language assessment using the PRES (Preschool Receptive-Ex pressive Language Scale) and the REVT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Among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screening test, 1,246 (22.5%) were referred for the in depth assessment, and 925 (80.7%) of them completed the in-depth assessment. Prevalence was calculated as the proportion of children with DLD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out of the total participants (5,099 children) and was analyzed by type of delay, age, region, and cognitive level. Results: 10.4% of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DLD. The prev alence of combined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delay (7.5%) was higher than that of expressive language delay only (2.9%). When the sample was limited to children with cognitive scores above -1 SD, the prevalence was 2.6%, and 6.0% when limited to scores above -2 SD. Prevalence decreased with age. Boys had a higher prevalence than girls, and children living in small cities or rural areas had a higher prevalence than those in mid-sized cities.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s the first population-based prevalence study conducted in Korea through a systematic proced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prevalence of language delay in young children and to serve as use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ervices and policies for these childre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 표현에서의 용언 사용
- 자폐 스펙트럼장애(ASD)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화용언어와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 간의 연관성
- 미숙아의 초기 발성이 이후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생후 12-24개월의 종단 연구
-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한 유아의 음운발달 탐색
- 4세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소근육운동발달과 언어발달 간의 상관관계 및 예측력
- 3-6세 유아의 언어발달지연 출현율: 인구기반연구
- 취학전 문해고위험군, 복합문해고위험군의 낱말 읽기 및 쓰기 수행력: 의미유무와 음절 내 위치를 고려하여
- 말소리장애 하위유형에 따른 음운표상 능력
- 초등 2학년 난독 학생의 해독난이도에 따른 문단글 읽기유창성 발달 및 오류 특성
- 묘사와 설명 글쓰기를 통해 종단적으로 살펴본 초등 저학년의 쓰기 발달: 생산성과 어휘를 중심으로
- 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휘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효과크기 및 질적지표 분석
- 한국 아동 대상 간편 행동억제기질검사 ‘Short Behavioral Inhibition Scale’의 표준화 연구
- 한국어 이야기 말하기 과제 기반 연령대별 정상 성인의 핵심 어휘 목록 개발
- 성별에 따른 고령자의 담화 산출에서의 거시구조 및 미시구조의 차이
- AbSANT (Abstract Semantic Associative Network Training) 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Images on Word Training in Persons with Aphasia: An Exploratory Study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