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Media Device Addiction on Pragmatic Language Skills in School-Aged Children: The Mediating Role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현아(Hyuna Lee) 정예지(Ye-Jee Ju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3, 458~466쪽, 전체 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사회적 맥락에서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능력인 화용 언어 능력은 현재까지 인공지능이 완벽하게 대체하기 어려운인간 고유의 특징으로서, 이 능력의 상대적 중요성은 앞으로도 더욱 커질 것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화용 언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을 파악하고 그 메커니즘을 탐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디어 기기 중독이 학령기 아동의 화용 언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미디어 기기 중독이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집행기능의 곤란이 미디어 기기 중독과 화용 언어 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방법: 제10차 한국아동패널 데이터에 포함된 초등학교 3학년 아동 1,39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 집행기능 곤란, 화용 언어 능력 간의관계를 검토하였다. 결과: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 집행기능 곤란, 화용 언어 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또한, 미디어기기 중독은 화용 언어 능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이 관계에서 집행기능 곤란이 부분적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미디어 기기 중독이 아동의 화용 언어 능력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 집행기능의 어려움이 부분적인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령기 아동의 언어 발달에 미치는 미디어 기기 중독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화용 언어 능력과 집행기능의 어려움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Pragmatic language skills, the ability to use language appropriately in social contexts, remain a uniquely human characteristic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has yet to fully replic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is ability is expected to grow even more in the future. Against this backdrop, it is crucially important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pragmatic language skills and to explore their mechanism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media device addiction affects school-aged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skills. It also examines whether executive functioning difficulty mediates the re lationship between media device addiction and pragmatic language skill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1,392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data from the 10th (2017)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edia device addiction,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pragmatic language skills was examined. Result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among children’s media device addiction,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pragmatic language skills. Moreover, media device addic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ragmatic language skills,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was confirmed in this relationshi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media device addic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skill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both pragmatic language skill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of media device addiction on school-aged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아(Hyuna Lee),정예지(Ye-Jee Jung). (2025).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 (3), 458-466

MLA

이현아(Hyuna Lee),정예지(Ye-Jee Jung).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3(2025): 458-4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