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rrelation and Predictive Power of Fine Motor Skills and Language Development in 4-Year-Old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지환(Ji-Hwan Kim) 강은희(Eun-Hee Kang) 이현정(Hyun-Jung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3, 436~444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소근육운동능력은 단순한 신체 조절 기능을 넘어 인지적, 언어적 기능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4세 언어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소근육운동능력과 언어능력 간의 상관관계 및 예측력을 단기종단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언어 및 소근육운동능력을 평가받은 4세 아동 37명을 대상으로 Pearson 상관분석과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시각-운동통합능력은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6개월 후 언어발달과 1년 후 수용언어발달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잡기능력은 표현언어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6개월 후 표현언어발달을 예측하였으나 1년 후에 대한 예측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4세의 언어능력은 이후 1년 후 시각-운동통합발달을 예측하였다. 논의 및 결론: 소근육운동능력, 특히 시각-운동통합은 언어발달과 양방향적으로 상호작용하므로, 언어중재 시 소근육운동기능을 포함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Fine motor skill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physical coordination as well as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these domains are interrelated, especiall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and predictive relationships between fine motor skills and language abilities in 4-year-ol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s, using a short-term longitudinal approach. Methods: A total of 37 four-year-ol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s, who had been assessed using the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and the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s-Second Edition (PDMS-2), were included in the study. Pearson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fine motor skills and language abilities, as well as their predictive power at 6-month and 1-year follow-up points. Results: Visual-motor integration skill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scores and predicted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one year later. Grasping skil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xpressive language and predicted expressive language gains at six months but not at one year. Furthermore, language abilities at age four significantly predicted visual-motor integration development one year later, indicating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Conclus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visual-motor integration in language development and suggest that language and fine motor development may influence each other over time. These results support an integrated therapeutic approach that includes fine motor training in language interven tion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 표현에서의 용언 사용
- 자폐 스펙트럼장애(ASD)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화용언어와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 간의 연관성
- 미숙아의 초기 발성이 이후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생후 12-24개월의 종단 연구
-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한 유아의 음운발달 탐색
- 4세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소근육운동발달과 언어발달 간의 상관관계 및 예측력
- 3-6세 유아의 언어발달지연 출현율: 인구기반연구
- 취학전 문해고위험군, 복합문해고위험군의 낱말 읽기 및 쓰기 수행력: 의미유무와 음절 내 위치를 고려하여
- 말소리장애 하위유형에 따른 음운표상 능력
- 초등 2학년 난독 학생의 해독난이도에 따른 문단글 읽기유창성 발달 및 오류 특성
- 묘사와 설명 글쓰기를 통해 종단적으로 살펴본 초등 저학년의 쓰기 발달: 생산성과 어휘를 중심으로
- 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휘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효과크기 및 질적지표 분석
- 한국 아동 대상 간편 행동억제기질검사 ‘Short Behavioral Inhibition Scale’의 표준화 연구
- 한국어 이야기 말하기 과제 기반 연령대별 정상 성인의 핵심 어휘 목록 개발
- 성별에 따른 고령자의 담화 산출에서의 거시구조 및 미시구조의 차이
- AbSANT (Abstract Semantic Associative Network Training) 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Images on Word Training in Persons with Aphasia: An Exploratory Study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