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한 유아의 음운발달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Phonological Development in Toddlers using a Nonword Repetition Task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피민경(Minkyeong Pi) 송다은(Daeun Song) 하승희(Seung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3, 425~43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기 말-언어 습득 단계 아동에게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여 연령 증가에 따른 아동 반응 유형및 음운 정확도 변화 양상, 그리고 음운 정확도와 표현 언어 간의 상호작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 아동 18-23개월 15명, 24-30개월 14명, 31-35개월 25명을 대상으로 무의미낱말 15문항을 따라 말하게 하였다. 아동 반응은 목표어 정반응, 음운론적으로 유사한 오반응, 어휘화 오류, 옹알이, 무반응으로 구분하였다. 음운 정확도는 문항, 음절, 음소 정확도로 나누었으며 표현 언어 점수와 상관을 살펴보았다. 결과: 아동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목표어 정반응 증가, 어휘화 오류, 무반응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음운 정확도는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음절 길이가 긴 검사어일수록 문항 정확도와 음소 정확도가 낮았다. 또한 2음절 이상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의 문항 정확도는 표현 언어 점수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가 초기 언어 습득기 아동의 음운 처리 및 말 산출 능력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표현 언어 발달과의 유의한 관련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of toddlers during early speech and language acquisition using a nonword repetition (NWR) task. It aimed to ex amine age-related changes in response patterns and phonological accurac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accuracy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y. Methods: Fifty-four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18 to 35 months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Each child was asked to repeat 15 nonwords. Responses were categorized into tar get responses, phonologically similar errors, lexical errors, babbling, and no response. Phonological accuracy was measured at the item, syllable, and phoneme levels. Expressive language scores were assessed using SELSI-Expressive language. Results: As age increased, the proportion of target responses increased, while lexical errors and no response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overall phonological accuracy improved. The accuracy of items and phonemes in nonword repetition was lower for nonwords with longer syllable lengths, particularly for those with three to four syllables. In addition,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tem accuracy for nonwords of two or more syllables and expressive language score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nonword repetition task may be useful for assessing phonological processing and speech production abilities in toddlers during early language acquisition, with performance showing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피민경(Minkyeong Pi),송다은(Daeun Song),하승희(Seunghee Ha). (2025).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한 유아의 음운발달 탐색.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 (3), 425-435

MLA

피민경(Minkyeong Pi),송다은(Daeun Song),하승희(Seunghee Ha).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한 유아의 음운발달 탐색."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3(2025): 425-4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