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휘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효과크기 및 질적지표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Meta-Analytic Review of Single-Case Experimental Studies on Vocabulary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Effect Sizes and Qualitative Indicator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정부자(Bhuja Chung) 정효은(Hyo Eun Jeo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3, 550~567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어휘는 언어이해와 표현의 기초적 기술로 학령전기 및 학령기 초기 아동의 의사소통과 문해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어휘중재 단일대상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할 뿐아니라 질적지표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중재의 증거기반실제를 검토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2010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국내 등재지 이상 학술논문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단일대상연구 10편을 분석하였다. 선정된 논문에대해 연구 특성, 중재 특성, 독립변인, 종속변인 등을 분류하였고, 비중복비율(PND)과 Tau-U 값을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또한 Reichow 등(2008)이 제안한 질적지표에 근거하여 연구의 방법론적 엄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효과크기가 크거나 매우 크게 나타났고, 연구대상의 장애 유형, 중재방법에 따른 유의한 차이 없이 어휘중재의 전반적인 효과성이 확인되었다. 반면 학령전기보다는 학령기 초기에, 어휘표현보다는 이해에서 유의하게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반면 질적지표 분석 결과에서는 방법론적 엄격성에서 ‘높음’ 수준에 해당하는 연구는 없었고, ‘적절함’ 수준은 2편, ‘미흡함’ 수준은 8편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연구대상에 대한 상세한 기술, 관찰자 간 신뢰도 및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의 기준이 더 보완되어야 할 지표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어휘중재는 언어장애 아동에게 효과적인 중재방법인 것으로 확인되나, 질적기준을 충족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향후에는 방법론적인 타당성과 질적지표 기준에 충족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실천적 중재의 과학적 근거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Vocabulary serves as a foundational component for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and plays a crucial role in communication and literacy for preschoolers and early school aged children. This study aimed not only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conduct a meta-analysis of single-case experimental studies on vocabulary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but also to examine quality indicators to evaluate the evidence-based nature of the intervention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Methods: Ten single-case design studies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10 to 2024 were selected based on predefined inclusion criteria. Each study was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an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an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using the percent of non-overlapping data (PND) and Tau-U. Research strength was assess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proposed by Reichow et al. (2008).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demonstrated large to very large effect sizes, confirming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vocabulary interventions regardless of disability type or intervention method. In contrast, significantly greater effect sizes were observed in early school-age children compared to preschoolers, and in vocab ulary comprehension relative to expression. However, no studies met the ‘strong’ level, with only two rated as ‘adequate’ and eight as ‘weak.’ Major limitations included insufficient re porting of participant characteristics, lack of inter-observer agreement data, limited assess ment of treatment fidelity, and inadequate consideration of social validity. Conclusion: While vocabulary interventions were generally effective for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most studies fell short of meeting methodological quality standards. Future research should enhance methodological validity and adhere to established quality indicators to strengthen the scientific evidence base for clinical practic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부자(Bhuja Chung),정효은(Hyo Eun Jeong). (2025).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휘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효과크기 및 질적지표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 (3), 550-567

MLA

정부자(Bhuja Chung),정효은(Hyo Eun Jeong). "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휘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효과크기 및 질적지표 분석."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3(2025): 550-5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