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묘사와 설명 글쓰기를 통해 종단적으로 살펴본 초등 저학년의 쓰기 발달: 생산성과 어휘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Longitudinal Study of Writing Development in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Productivity and Vocabulary in Descriptive and Expository Text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배희숙(Hee-Sook Bae)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3, 532~549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 아동의 주제 글쓰기(묘사, 설명)를 통해 학년에 따라, 주제에 따라 생산성과 어휘 사용의 변화를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학년 아동 23명을 대상으로 세 가지 주제 글쓰기(이야기, 묘사, 설명)를 진행한 후 매년 동일한 아동을 대상으로 같은 시기에 1회의 쓰기 활동을 통해 종단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해에는 23명이 참여하였으나 3년차에는 19 명이 남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중 세 가지 주제 글쓰기를 모두 완료한 16명의 자료 중에서 이야기에 대한 선행연구(Bae, 2025)에 이어묘사와 설명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학년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생산성(T-unit, NTW, MLT-w, NDW, TTR, CTTR, VD)을 살펴보고, 아울러 텍스트 주제별로 어휘 사용의 변화를 학년을 관통하여 사용한 공통어(CWG)와 각 학년에서만 나타난 고유어(SWG) 및 고유어의의미 범주를 분석하였다. 결과: 저학년의 글쓰기에서 생산성은 어휘 밀도(내용어의 비율)를 제외한 모든 변인이 학년에 따른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텍스트 유형 간 비교에서는 T-unit, NTW, NDW가 묘사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MLT-w와 VD는 묘사보다 설명 텍스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어휘 분석에서 공통어는 [역할], [외모], [성격], [재료], [방법]과 같이 각 주제의 핵심 의미 틀과 관련되어 있었고, 고유어는 학년이 높아지면서 어휘소와 그 의미 범주가 어떻게 확장되는지를 보여주었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저학년 아동도 텍스트 주제에 따라 문체를 조절하며 글을 쓴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CWG와 SWG는 글쓰기 중재 시 텍스트 주제에 따라 의미 틀과단어의 매칭, 학년 수준에 따른 텍스트 주제별 어휘와 의미 범주 선정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longitudinally examined the writing development of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nalyzing their descriptive (My mom) and expository (Making Gimbap) writing, with a focus on productivity and vocabulary. Methods: Longitud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an initial cohort of 23 first-grade students through three topic-writing tasks (narrative, descriptive, and expository) administered once a year under consistent conditions. While 23 students participated initially, the number decreased to 19 by the third year.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16 students who completed all three writing tasks. Building on a previous study of narrative texts (Bae, 2025), the present analysis focused on descriptive and expository writing. For writing productivity, variables including Terminal unit (T-unit), number of total words (NTW), mean length of T-unit in words (MLT-w), 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type-token ratio (TTR), corrected type-token ratio (CTTR), and vocabulary density (VD) were examined across grades and text types. Vocabulary use was analyzed by identifying cross-grade common words (CWG), grade-specific words (SWG), and their semantic categories. Results: The productivity variables exhibited an up ward trend across grade levels in both text types except for VD. Descriptive texts showed higher T-unit, NTW, and NDW values, whereas MLT-w and VD were greater in expository texts. CWG were related to the semantic frames such as [ROLE], [FIGURE], [CHARACTER], [INGREDIENT], [COOKING METHOD], etc., while SWG showed how vocabulary and its semantic categories expanded across grade level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ven lower-grade students adapt their writing style according to text type. CWG and SWG offer clinical implications for writing intervention, for instance, how to match semantic frameworks with appropriate words and how to select vocabulary suitable for each grade level.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희숙(Hee-Sook Bae). (2025).묘사와 설명 글쓰기를 통해 종단적으로 살펴본 초등 저학년의 쓰기 발달: 생산성과 어휘를 중심으로.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 (3), 532-549

MLA

배희숙(Hee-Sook Bae). "묘사와 설명 글쓰기를 통해 종단적으로 살펴본 초등 저학년의 쓰기 발달: 생산성과 어휘를 중심으로."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30.3(2025): 532-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