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ext Reading Fluency and Error Patterns by Decoding Difficulty in Korean Second Grader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유해림(Haerim Yu) 강정수(Jung Soo Kang) 천해인(Haein Cheon) 배소영(Soyeong Pa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3, 520~531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표층표기체계를 갖는 한글에서는 읽기유창성이 읽기능력에 중요한 능력이기에 해독 가능한 문단글을 제공하여 살펴보는 것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 2학년 난독 및 일반 학생에게 해독난이도별 문단글을 제시하여 문단글 읽기유창성 특성과 오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2학년 난독 학생 30명과 일반 학생 30명, 총 60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해독난이도에 따른 문단글을 제시하고, 집단과 해독난이도에 따른 10초당 정확하게 읽은 어절 수, 어절 정확도, 읽기 속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6가지 읽기 오류유형별 오류 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난독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10초당 정확하게 읽은 어절 수, 읽기 속도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어절 정확도의 경우, 해독난이도 하에서 난독 학생과 일반 학생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해독난이도 상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해독난이도 하에서 집단 간 오류 횟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해독난이도 상에서는 난독학생이 해독, 어휘 대치, 어절 내 반복, 문법형태소, 수정 오류유형에서 유의하게 많은 오류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의및 결론: 해독 가능한 문단글을 제시했을 때 난독 학생도 일반 학생과 유사한 정확도로 읽고, 읽기 속도 또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절 단위로 살펴보았을 때 문법형태소 오류가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읽기 중재 시 문법형태소가 포함된 어절 단위 활동을 포함하여 유창성 지도를 하고, 문법적 요소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Reading fluency serves as a crucial component in learning to read Korean, a language with transparent orthograph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xamine reading fluency using decodable text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ext reading fluency abilities and errors between second-grade students with and without dyslexia, using texts with varying decoding difficulty. Methods: A total of 60 second-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cluding 30 with dyslexia (DD) and 30 typically developing (TD). Participants read texts with two levels of decoding difficulty. Reading fluency was assessed based on the number of cor rectly read eojeol (i.e., Korean spacing units) per 10 seconds, eojeol accuracy, and reading speed. In addition, the number of errors across six types of reading fluency errors was analyzed. Results: The D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he TD group in the number of correctly read eojeol per 10 seconds and reading speed. Eojeol accurac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for low-difficulty text, however,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for high-difficulty text. Error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errors across all error types for low-difficulty text. In contrast, for high-difficulty text, DD showed significantly more errors in decoding, word substitution, within-phrase repetition, grammatical morpheme, and correction errors. Conclusion: Students with dyslexia showed comparable reading accuracy and improved reading speed when reading low-difficulty text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using decodable texts. Grammatical morpheme errors were most frequent, highlighting the need for fluency instruction at the eojeol level, especially emphasizing grammatical elements, in reading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dyslexia.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 표현에서의 용언 사용
- 자폐 스펙트럼장애(ASD)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화용언어와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 간의 연관성
- 미숙아의 초기 발성이 이후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생후 12-24개월의 종단 연구
-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한 유아의 음운발달 탐색
- 4세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소근육운동발달과 언어발달 간의 상관관계 및 예측력
- 3-6세 유아의 언어발달지연 출현율: 인구기반연구
- 취학전 문해고위험군, 복합문해고위험군의 낱말 읽기 및 쓰기 수행력: 의미유무와 음절 내 위치를 고려하여
- 말소리장애 하위유형에 따른 음운표상 능력
- 초등 2학년 난독 학생의 해독난이도에 따른 문단글 읽기유창성 발달 및 오류 특성
- 묘사와 설명 글쓰기를 통해 종단적으로 살펴본 초등 저학년의 쓰기 발달: 생산성과 어휘를 중심으로
- 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휘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효과크기 및 질적지표 분석
- 한국 아동 대상 간편 행동억제기질검사 ‘Short Behavioral Inhibition Scale’의 표준화 연구
- 한국어 이야기 말하기 과제 기반 연령대별 정상 성인의 핵심 어휘 목록 개발
- 성별에 따른 고령자의 담화 산출에서의 거시구조 및 미시구조의 차이
- AbSANT (Abstract Semantic Associative Network Training) 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Images on Word Training in Persons with Aphasia: An Exploratory Study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