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sociations of Pragmatic Language with Internalizing Behavior and Externalizing Behavior in Children with ASD and ADHD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다미(Damee Kim) 이수민(Soomin Lee) 도례미(Ryemi Do) 최보인(Boin Choi) 김붕년(BungNyun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30. no.3, 478~493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화용언어는 언어의 사회적 사용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어려움이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는 (1) ASD와 ADHD 아동 간의 화용언어 능력을 하위 기능별로 비교하고, (2) 화용언어 능력이 이들의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과 어떤 관련을 갖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본 연구에는 5-13세아동 116명(ASD 29명, ADHD 87명)이 참여하였다. 아동의 화용언어 능력은 아동 화용언어 체크리스트(CPLC), 정서 및 행동 문제는한국판 아동 행동평가척도(K-CBCL)를 통해 보호자 보고 방식으로 측정되었다. 분석에는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과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연령과 지능(FSIQ)은 통제 변인으로 포함되었다. 결과: ASD 아동은 담화 관리와 비언어적 의사소통 영역에서 ADHD 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화용언어는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 문제와 유의한 부적 관계를 나타냈으며, 이 관계는 진단 집단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반면, 지능은 화용언어 수행과는 관련이 있었지만 정서·행동 문제와는 유의한 관련이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화용언어는 단순한 언어 기능 향상을 넘어 정서 조절 및 행동 문제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중재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두 진단군 모두에서 화용언어의 어려움이 나타났지만, 그 원인과 양상은 상이하므로 질적으로 차별화된 중재접근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1) compare pragmatic language skills betwee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2)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pragmatic language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in these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16 children aged 5 to 13 years (29 with ASD, 87 with ADHD). Pragmatic language was assessed using the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were measured via caregiver reports using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Analyses included MANCOVA and multiple regression, controlling for age and full-scale IQ. Results: Children with ASD showed greater challenges in discourse management and non verbal communication but not other domains of the CPLC compared to those with ADHD. Furthermore, pragmatic language skill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across the two diagnostic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lthough pragmatic language difficulties are common in both children with ASD and ADHD, the specific patterns of these difficulties differ by diagnosis. In addition, the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and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suggest that stronger pragmatic skills may play a protective role in supporting broader psychosocial functioning among neurodivergent children. These find ings highlight the need for diagnosis-specific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address the dis tinct communication profiles and related behavioral challenges of each group.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미디어 기기 중독이 화용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 학령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 표현에서의 용언 사용
- 자폐 스펙트럼장애(ASD)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화용언어와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 간의 연관성
- 미숙아의 초기 발성이 이후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생후 12-24개월의 종단 연구
- 무의미낱말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한 유아의 음운발달 탐색
- 4세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소근육운동발달과 언어발달 간의 상관관계 및 예측력
- 3-6세 유아의 언어발달지연 출현율: 인구기반연구
- 취학전 문해고위험군, 복합문해고위험군의 낱말 읽기 및 쓰기 수행력: 의미유무와 음절 내 위치를 고려하여
- 말소리장애 하위유형에 따른 음운표상 능력
- 초등 2학년 난독 학생의 해독난이도에 따른 문단글 읽기유창성 발달 및 오류 특성
- 묘사와 설명 글쓰기를 통해 종단적으로 살펴본 초등 저학년의 쓰기 발달: 생산성과 어휘를 중심으로
- 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어휘중재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 효과크기 및 질적지표 분석
- 한국 아동 대상 간편 행동억제기질검사 ‘Short Behavioral Inhibition Scale’의 표준화 연구
- 한국어 이야기 말하기 과제 기반 연령대별 정상 성인의 핵심 어휘 목록 개발
- 성별에 따른 고령자의 담화 산출에서의 거시구조 및 미시구조의 차이
- AbSANT (Abstract Semantic Associative Network Training) 중재가 실어증 환자의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Images on Word Training in Persons with Aphasia: An Exploratory Study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