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Visa Policy Adjustments toward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Period of 2016~2024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涂波(Bo Tu)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2輯, 505~5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For China, the visa policy for South Korean citizens is a crucial element of China-South Korea relations, and its evolution reflects the changes in bilateral ties over time. Particularly after the signing of th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2015, the frequency of personnel exchanges increased, leading to multiple adjustments in visa policies. Meanwhile, this period coincided with significant shift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landscape, fluctuations in China-Korea bilateral relations, and the impact of the global pandemic. Against this backdrop, the adjustments of China’s visa policy for Korean citizens exhibited distinct phased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visa policy adjustments for Korean citizen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analysis, it systematically examines and analyzes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hina’s visa policies from 2016 to 2024,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adjustments at different stages. The study finds that from 2016 to 2024, China’s visa policy changes toward South Korean citizens demonstrate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visa policies exhibit high sensitivity and flexibility in response to changes in China-Korea bilateral relations, with policy adjustments reflecting the dynamic nature of their relationship to a considerable extent. Second, China’s visa policy toward Korean citizens interacts significantly with Korea’s visa policy toward Chinese citizens. These policies influence each other and, to some extent, form a balancing mechanism. Third, major international events at specific historical periods often serve as key variables influencing visa policy adjustments, directly impacting polic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Fourth, visa policy adjustments reflect China’s strategic trade-offs between opening up to the world and ensuring national security. The policy must promote international exchanges and cooperation while safeguarding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health, demonstrating a balance of multiple objectiv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inally, China’s visa policy for South Korean citizens has generally evolved progressively, shifting from strict to lenient and from complex to convenient. This trend aligns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personnel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provides policy support for the long-term stable development of bilateral relations.
영문 초록
伴随着全球一体化和国际交流的不断深化,签证政策逐渐成为两国双边关系的晴雨 表,同时也是国家外交战略的重要组成部分。对中国而言,对韩国公民的签证政策是中韩 关系的重要构成要素,其演变过程反映了随着时代发展两国关系的变迁。特别是在2015年 两国签署自由贸易协定后,人员往来更加频繁,签证政策也随之进行了多次调整。与此同 时,这一时期正值国际政治格局深刻变动、中韩双边关系起伏不定以及全球疫情影响等多 重因素交织的背景下,中国对韩国公民签证政策的演变呈现出显著的阶段性特征。本研究 旨在探讨中国对韩国签证政策的演变特征,基于文献研究和案例分析的研究方法,通过对 2016年至2024年中国签证政策的历史演进脉络进行分段整理和分析,揭示其在不同阶段的 演变特征。研究发现首先,签证政策对中韩双边关系的变化具有高度的敏感性和灵活性, 其调整幅度在一定程度上反映了两国关系的动态变化;其次,中国对韩国公民的签证政策 与韩国对中国公民的签证政策存在较强的互动性,二者在一定程度上相互影响并形成制衡 机制;再次,在特定历史时期,重大国际事件往往成为影响签证政策调整的关键变量,对政策的制定和实施产生直接作用;第四,签证政策的调整体现了中国政府在对外开放与国 家安全之间的战略权衡,既需要促进国际交流与合作,又需兼顾国家安全和公共卫生安全 的保障,政策制定过程体现出多重目标的平衡考量;最后,中国对韩国公民的签证政策总 体呈现出从严格到宽松、从复杂到便利的渐进式演化趋势,这一趋势契合了中韩两国日益 频繁的人员往来需求,同时也为双边关系的长期稳定发展提供政策支撑。
목차
1. 绪论
2. 文献综述
3. 中国对韩签证政策的演变
4. 分析中国对韩签证政策的演变特征
5. 结论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제92집 목차
- “愚者之旅”与“易”之变——塔罗大阿卡纳与《易经》六十四卦的过程比较研究
- 『목천자전』의 역사 기억과 제국 서사
- 여말선초(麗末鮮初) 사행시에 나타난 해항도시 연구
- ‘시진핑문화사상’에 내재된 문화정치적 함의 - 후난TV《마르크스가 공자를 만났을 때(当马克思遇见孔夫子)》를 중심으로
- 『說文解字』의 亦聲字 연구(1) - 形聲과 會意의 경계를 넘는 구조적 사유
- 蒲松龄『聊斋俚曲集』中“比”字句探微——兼论“比”字句的历时演变
- 18세기 티베트어 어두 복자음에 관한 연구 - 『御製五體淸文鑑』을 중심으로
- 현대중국어 도치초래구문에 관한 고찰 - 주관화와 구문확장을 중심으로
- 중국어 공손표현의 공손성 강도와 사용 양상 분석
- AI-Hub 구어체 중·한 말뭉치 활용 촉각어 ‘热’의 한국어 의미 확장 연구 - 개념적 은유·환유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과정-교과서 연계성 분석틀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비교 분석 - 2022개정 교육과정 검정 6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 汉字文化圈视阈下汉字词学习的优势与障碍分析 ——以韩国为例
- 낙관적 비관주의자, 거마이(戈麦) 시(诗)의 역설과 구원
- 한·중 드라마 콘텐츠 산업 비교 연구 - 산업 구조와 글로벌 전략을 중심으로
- 16∼17세기 갤리언 무역에 의한 명대 은 유통량과 경제적 충격의 구조적 분석
- 全面抗战时期韩人在华办报活动研究——以《东方战友》为中心
- 종교다원주의 관점으로 본 천잉닝(陳攖寧) 선학(仙學)사상의 현대성 고찰
- 근대 중국의 국민경제론과 개혁방안 - 국가 주도 경제의 기원
- 농자판(农家饭), 도농 정체성, 그리고 양생 - 중국판 시골밥의 문화적 다의성
- 중국의 소프트파워 담론과 문화외교 전략 - 도전과 과제에 대한 소고
- 청년 친화성을 중심으로 한 항저우 모델 연구
- 중국의 라이브커머스에서의 왕홍(网红)의 역할과 소비자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中国对韩国签证政策的演变特征研究 —— 以2016~2024年期间为研究中心
- Z세대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역량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