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돗물의 정수 방식이 홍차 침출수의 맛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Effect of Tap Water Purification Methods on the Flavor of Black Tea Infusion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김수현(Su-hyeon Kim) 이병인(Pyong-in Yi) 박제성(Je-sung Park)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69집,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의 정수기물은 음용시 간편하고 고품질의 먹는물에 대한 요구, 불편함 등이 정수기를 선호하게 만들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수돗물 음용률은 저조하면서 다른 국가에 비하여 정수기 이용이 높은 편이다. 이렇게 정수기 이용이 높아지면서 정수 방식에 대한 여러 정수 필터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차를 우렸을 때 좋은 물이란 깨끗하고 맛있으며, 차를 우렸을 때 차의 향과 맛이 잘 전달되어야 한다고 전해진다. 꼭 생수물이 아닌 정수물을 이용하여 홍차를 추출했을 때의 변화 및 맛을 알아보고자 정수된 물(3번부터 9번), 수돗물, 증류수, 생수 총 9가지 시료수로 홍차를 추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시료수의 신맛(AHS), 감칠맛(NMS), 짠맛(CTS)을 포함한 맛 특성과 경도, 전기전도도, pH, 탁도, TDS, 총잔류염소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맛 요소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차를 우릴 때 가장 인기가 많은 2번 샘플(생수)를 기준으로 짠맛, 신맛, 감칠맛의 그래프와 전자혀의 맛 점수를 비교해서 정수 필터 선택에 대한 구체적이고 기호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정수물을 사용하여 차를 우려도 기존 생수에서와 같은 맛을 누릴 수 있다고 판단이 되었다. 단 정수필터를 통한 물은 생수와 똑같은 물을 만들지 못하지만, 실험결과의 점수표를 기준으로 생수보다 신맛, 짠맛, 우마미의 높고 낮음을 알 수 있어 기존 생수의 맛에 본인이 좋아하며 즐길 수 있는 차맛을 어느 정도 예상해서 찻물을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demand for convenient, high-quality drinking water, coupled with the inconvenience of using water purifiers, has led to a preference for them. In particular, South Korea has a low tap water consumption rate, leading to a higher use of water purifier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is increased use of water purifier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various water purification filters. It is said that good water for brewing tea should be clean and delicious, and the tea's aroma and flavor should be fully convey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flavor of black tea brewed using purified water, rather than pure water, we conducted experiments by extracting black tea from nine different water samples: purified water (Nos. 3 to 9), tap water, distilled water, and pure water. We measured the taste characteristics of each sample, including acidity (AHS), saltiness (CTS), and umami (NMS), as well as electrical conductivity, hardness, pH, turbidity, TDS, and total residual chlorine. Through these measurement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water and flavor factors. Generally, by comparing the graph of saltiness, sourness, and umami with the taste score of the electronic tongue based on the second sample (mineral water), which is the most popular when making tea, we were able to present specific and symbolic criteria for selecting a water filter. The results show that you can enjoy the same taste as with conventional mineral water even if you make tea using purified water. However, water through a water filter cannot make water that is the same as conventional mineral water, but based on the score table of the experimental results, you can know the higher or lower sourness, saltiness, and umami than conventional mineral water, so it is judged tha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you can choose tea by predicting to some extent the taste of tea that you like and can enjoy from the taste of conventional mineral water.

목차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현(Su-hyeon Kim),이병인(Pyong-in Yi),박제성(Je-sung Park). (2025).수돗물의 정수 방식이 홍차 침출수의 맛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차문화산업학, (), 1-28

MLA

김수현(Su-hyeon Kim),이병인(Pyong-in Yi),박제성(Je-sung Park). "수돗물의 정수 방식이 홍차 침출수의 맛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차문화산업학, (2025):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