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목천자전』의 역사 기억과 제국 서사

이용수  0

영문명
Historical Memory and Imperial Narrative of Mutianzizhuan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송정화(Jung-Hwa Song)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2輯, 23~5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고는 역사 기억(historical memory)과 제국 서사(imperial narrative)의 각도에서, 『목천자전』이 주목왕의 서역 원정의 역사를 소환하여 이를 어떻게 새로운 역사기억으로 재구성하고, 그렇게 형성된 기억이 문명과 질서의 중화공동체 인식을 ‘傳’ 이라는 엄정한 경전의 틀 속에서 형상화하며 고정하는지를 심층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탈식민주의의 ‘문화 번역’의 각도에서 『목천자전』이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서역을‘타자화(othering)’하는 동시에 ‘자기화(selfing)’하는 이중적 전략을 수행하고, 문명과질서의 중화를 이식해 가는 서사 전략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TianziZhuan through the dual frameworks of historical memory and imperial narrative. It examines how the text recalls the royal expedition to the Western Regions(西域) and reconstructs it into a new historical memory. The reconstructed past is inscribed within the canonical framework of the zhuan(傳), reinforcing a Sino-centric conception of civilization and order. From a postcolonial cultural translation perspective, the Western Regions are portrayed as a heterotopia—both real and “anti-real”. Initially othered as an alien space, they are ultimately assimilated into the Sino-centric world through kinship and enfeoffment. The narrative interweaves myth and history, transforming divine figures into historical actors. Mythical toponyms are redefined as concrete geographical sites linked to imperial space. Contrary to earlier historiographies emphasizing military conquest, the text foregrounds exchange, harmony, and integration. Tribute and diplomatic exchanges institutionalize asymmetrical relations. Narrative devices of naming and renaming replace local languages and memories with the imperial linguistic order. Landscape modification—through monuments, commemorative plantings, and architectural projects—reshapes both space and memory. These strategies erase traces of conquest and violence. They reframe the Western Regions as part of an expanded Sino-centric community. Ultimately, MuTianziZhuan emerges as a work of rewriting history, crafting a politicized, idealized vision of imperial unity.

목차

1. 서론
2. 서역: 헤테로토피아의 공간
3. 문명과 질서의 중화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정화(Jung-Hwa Song). (2025).『목천자전』의 역사 기억과 제국 서사.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 23-59

MLA

송정화(Jung-Hwa Song). "『목천자전』의 역사 기억과 제국 서사."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2025): 23-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