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istorical Memory and Imperial Narrative of Mutianzizhuan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송정화(Jung-Hwa Song)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2輯, 23~5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고는 역사 기억(historical memory)과 제국 서사(imperial narrative)의 각도에서, 『목천자전』이 주목왕의 서역 원정의 역사를 소환하여 이를 어떻게 새로운 역사기억으로 재구성하고, 그렇게 형성된 기억이 문명과 질서의 중화공동체 인식을 ‘傳’ 이라는 엄정한 경전의 틀 속에서 형상화하며 고정하는지를 심층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탈식민주의의 ‘문화 번역’의 각도에서 『목천자전』이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서역을‘타자화(othering)’하는 동시에 ‘자기화(selfing)’하는 이중적 전략을 수행하고, 문명과질서의 중화를 이식해 가는 서사 전략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TianziZhuan through the dual frameworks of historical memory and imperial narrative. It examines how the text recalls the royal expedition to the Western Regions(西域) and reconstructs it into a new historical memory. The reconstructed past is inscribed within the canonical framework of the zhuan(傳), reinforcing a Sino-centric conception of civilization and order.
From a postcolonial cultural translation perspective, the Western Regions are portrayed as a heterotopia—both real and “anti-real”. Initially othered as an alien space, they are ultimately assimilated into the Sino-centric world through kinship and enfeoffment. The narrative interweaves myth and history, transforming divine figures into historical actors.
Mythical toponyms are redefined as concrete geographical sites linked to imperial space. Contrary to earlier historiographies emphasizing military conquest, the text foregrounds exchange, harmony, and integration. Tribute and diplomatic exchanges institutionalize asymmetrical relations. Narrative devices of naming and renaming replace local languages and memories with the imperial linguistic order.
Landscape modification—through monuments, commemorative plantings, and architectural projects—reshapes both space and memory.
These strategies erase traces of conquest and violence. They reframe the Western Regions as part of an expanded Sino-centric community. Ultimately, MuTianziZhuan emerges as a work of rewriting history, crafting a politicized, idealized vision of imperial unity.
목차
1. 서론
2. 서역: 헤테로토피아의 공간
3. 문명과 질서의 중화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목천자전
역사 기억
제국 서사
이역
서역
일통화
신화
중서 교류
명명
탈식민주의
주목왕
헤테로토피아
MuTianziZhuan
Historical memory
Imperial narrative
Foreign
land
Western regions
Unification
Cultural translation
Sinicization
Mythology
Sino–Western regions exchange
Naming
Postcolonialism
King mu of zhou
Heterotopia
《穆天子传》
历史记忆
帝国叙事
异域
西域
一统化
文化翻译
汉化
神话
中西交流
命名
后殖民主义
周穆王
异托邦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제92집 목차
- “愚者之旅”与“易”之变——塔罗大阿卡纳与《易经》六十四卦的过程比较研究
- 『목천자전』의 역사 기억과 제국 서사
- 여말선초(麗末鮮初) 사행시에 나타난 해항도시 연구
- ‘시진핑문화사상’에 내재된 문화정치적 함의 - 후난TV《마르크스가 공자를 만났을 때(当马克思遇见孔夫子)》를 중심으로
- 『說文解字』의 亦聲字 연구(1) - 形聲과 會意의 경계를 넘는 구조적 사유
- 蒲松龄『聊斋俚曲集』中“比”字句探微——兼论“比”字句的历时演变
- 18세기 티베트어 어두 복자음에 관한 연구 - 『御製五體淸文鑑』을 중심으로
- 현대중국어 도치초래구문에 관한 고찰 - 주관화와 구문확장을 중심으로
- 중국어 공손표현의 공손성 강도와 사용 양상 분석
- AI-Hub 구어체 중·한 말뭉치 활용 촉각어 ‘热’의 한국어 의미 확장 연구 - 개념적 은유·환유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과정-교과서 연계성 분석틀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비교 분석 - 2022개정 교육과정 검정 6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 汉字文化圈视阈下汉字词学习的优势与障碍分析 ——以韩国为例
- 낙관적 비관주의자, 거마이(戈麦) 시(诗)의 역설과 구원
- 한·중 드라마 콘텐츠 산업 비교 연구 - 산업 구조와 글로벌 전략을 중심으로
- 16∼17세기 갤리언 무역에 의한 명대 은 유통량과 경제적 충격의 구조적 분석
- 全面抗战时期韩人在华办报活动研究——以《东方战友》为中心
- 종교다원주의 관점으로 본 천잉닝(陳攖寧) 선학(仙學)사상의 현대성 고찰
- 근대 중국의 국민경제론과 개혁방안 - 국가 주도 경제의 기원
- 농자판(农家饭), 도농 정체성, 그리고 양생 - 중국판 시골밥의 문화적 다의성
- 중국의 소프트파워 담론과 문화외교 전략 - 도전과 과제에 대한 소고
- 청년 친화성을 중심으로 한 항저우 모델 연구
- 중국의 라이브커머스에서의 왕홍(网红)의 역할과 소비자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中国对韩国签证政策的演变特征研究 —— 以2016~2024年期间为研究中心
- Z세대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역량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