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emantic Extension of the Chinese Tactile Word “热” in Korean U sing the AI-Hub Spoken Chinese–Korean Corpus : Focusing on Conceptual Metaphor and Metonymy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이은민(Eun-Min Lee)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2輯, 215~23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Hub 한국어–중국어 구어체 병렬 말뭉치를 기반으로 중국어 촉각어‘热’의 한국어 의미 확장을 개념적 은유·환유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热’는 물리적 온도 의미를 넘어 정서, 사회적 반응, 분위기 등 다양한 추상적 개념으로 확장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VITALITY IS HEAT, EMOTION IS HEAT 등 은유 구조와 환유·은환유가 복합적으로 작동하였다. 중-한 비교에서는 직접 대응, 문화적 조정, 구조적전환의 세 층위가 나타나 두 언어의 개념화 방식과 문화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본연구는 구어체 자료를 통한 실증 분석으로 기존 문어 중심 감각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언어 간 개념 체계 비교의 방법론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emantic extension of the Chinese tactile term 热(“heat”) in Korean, using the Chinese–Korean colloquial parallel corpus from AI-Hub. From broadcast-based colloquial data, 777 sentences containing 热 were identified, of which 411 with clear semantic categorization were selected. The expressions were classified into five semantic domains—physical, physiological, emotional, social, and abstract—and examined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Results show that 热 extends beyond its literal temperature meaning to express abstract concepts such as emotional states, social reactions, and situational atmosphere. Conceptual metaphors played a dominant role, with VITALITY IS HEAT, EMOTION IS HEAT, and SOCIAL ATTENTION IS HEAT being the most frequent. Metaphtonymy cases demonstrated how metaphor and metonymy interact in real discourse.
Comparative analysis revealed three correspondence typ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direct equivalence, cultural modulation,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reflecting differences in conceptualization and cultural cognition. This study supplements prior written-language–oriented sensory word research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rom colloquial data and offers methodological insights for cross-linguistic conceptual system analysis within cognitive linguistic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제92집 목차
- “愚者之旅”与“易”之变——塔罗大阿卡纳与《易经》六十四卦的过程比较研究
- 『목천자전』의 역사 기억과 제국 서사
- 여말선초(麗末鮮初) 사행시에 나타난 해항도시 연구
- ‘시진핑문화사상’에 내재된 문화정치적 함의 - 후난TV《마르크스가 공자를 만났을 때(当马克思遇见孔夫子)》를 중심으로
- 『說文解字』의 亦聲字 연구(1) - 形聲과 會意의 경계를 넘는 구조적 사유
- 蒲松龄『聊斋俚曲集』中“比”字句探微——兼论“比”字句的历时演变
- 18세기 티베트어 어두 복자음에 관한 연구 - 『御製五體淸文鑑』을 중심으로
- 현대중국어 도치초래구문에 관한 고찰 - 주관화와 구문확장을 중심으로
- 중국어 공손표현의 공손성 강도와 사용 양상 분석
- AI-Hub 구어체 중·한 말뭉치 활용 촉각어 ‘热’의 한국어 의미 확장 연구 - 개념적 은유·환유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과정-교과서 연계성 분석틀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비교 분석 - 2022개정 교육과정 검정 6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 汉字文化圈视阈下汉字词学习的优势与障碍分析 ——以韩国为例
- 낙관적 비관주의자, 거마이(戈麦) 시(诗)의 역설과 구원
- 한·중 드라마 콘텐츠 산업 비교 연구 - 산업 구조와 글로벌 전략을 중심으로
- 16∼17세기 갤리언 무역에 의한 명대 은 유통량과 경제적 충격의 구조적 분석
- 全面抗战时期韩人在华办报活动研究——以《东方战友》为中心
- 종교다원주의 관점으로 본 천잉닝(陳攖寧) 선학(仙學)사상의 현대성 고찰
- 근대 중국의 국민경제론과 개혁방안 - 국가 주도 경제의 기원
- 농자판(农家饭), 도농 정체성, 그리고 양생 - 중국판 시골밥의 문화적 다의성
- 중국의 소프트파워 담론과 문화외교 전략 - 도전과 과제에 대한 소고
- 청년 친화성을 중심으로 한 항저우 모델 연구
- 중국의 라이브커머스에서의 왕홍(网红)의 역할과 소비자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中国对韩国签证政策的演变特征研究 —— 以2016~2024年期间为研究中心
- Z세대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역량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