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aritime Port Cities Reflected in Envoy Poetry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최낙민(Nack-Min Choi)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2輯, 61~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려 말과 조선 초 對明 使行詩에 나타난 주요 해항도시 江蘇 太倉, 山 東 登州, 江南 揚州의 실상을 문학 자료를 통해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대명 사행시 연구는 사행 경로나 명대 문물제도의 광대함과 화려함 등에 집중하여, 실제 사행단이 도착·체류했던 해항도시의 구체적 모습과 기능을 고찰하는 데는 상대적으로 소홀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사행시를 1차 자료로 활용하여, 각 해항도시가갖는 역사·경제·문화적 복합 기능과 현장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동아시아 해항 네트워크 속에서 고려·조선 사행의 활동 무대를 재구성하였다. 태창은 국제 무역과 군사 거점이 결합한 남방의 관문이자 ‘여섯 나라의 항구(六國碼頭)’로서의 위상을, 등주는 齊魯의 역사와 해양 신앙이 융합된 전통적 북방 해상 거점의 의미를, 양주는 내륙운하와 양자강의 결절지로서 강남 문물의 보고라는 가치를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신들의 체류 경험과 시적 형상화는 해당 도시를 단순 경유지가 아니라 외교와문화 교류의 중심지로 부각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을 통해, 여말선초 해항도시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 해항도시 공간의 복합적 성격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것을 연구의 궁극적 목표로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ritime gateway cities encountered by Goryeo and early Joseon envoys to Ming China, focusing on Taicang (太倉) in Jiangsu, Dengzhou (登州) in Shandong, and Yangzhou (揚州) in Jiangnan. While earlier research on envoy poetry has emphasized diplomatic routes or the grandeur of Ming institutions,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specific roles and lived realities of the ports themselves. By examining envoy poetry alongside historical records, this study reconstructs these cities as active spaces of arrival, residence, and cultural interaction within the East Asian maritime network.
Taicang emerges as a strategic military and commercial harbor at the mouth of the Yangtze, serving both as an entry port for Korean envoys and as a naval stronghold against piracy. Dengzhou appears as a northern maritime hub where sites such as Penglai Pavilion and Mazu temples embodied religious devotion and cultural memory, turning the city into more than a mere stopover. Yangzhou, located at the junction of the Grand Canal and the Yangtze River, represented a symbolic gateway to Jiangnan culture, characterized by literary achievement, refined leisure, and abundant material goods.
Ultimatel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maritime cities recorded in envoy poetry were not simple transit points but complex arenas where diplomacy, commerce, culture, and belief intersected. In doing so, it complements envoy travel accounts (燕行錄) and expands our understanding of the multifaceted nature of maritime space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六國의 碼頭’ 太倉
3. 齊魯의 해항도시 登州
4. 吳楚의 해항도시 揚州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제92집 목차
- “愚者之旅”与“易”之变——塔罗大阿卡纳与《易经》六十四卦的过程比较研究
- 『목천자전』의 역사 기억과 제국 서사
- 여말선초(麗末鮮初) 사행시에 나타난 해항도시 연구
- ‘시진핑문화사상’에 내재된 문화정치적 함의 - 후난TV《마르크스가 공자를 만났을 때(当马克思遇见孔夫子)》를 중심으로
- 『說文解字』의 亦聲字 연구(1) - 形聲과 會意의 경계를 넘는 구조적 사유
- 蒲松龄『聊斋俚曲集』中“比”字句探微——兼论“比”字句的历时演变
- 18세기 티베트어 어두 복자음에 관한 연구 - 『御製五體淸文鑑』을 중심으로
- 현대중국어 도치초래구문에 관한 고찰 - 주관화와 구문확장을 중심으로
- 중국어 공손표현의 공손성 강도와 사용 양상 분석
- AI-Hub 구어체 중·한 말뭉치 활용 촉각어 ‘热’의 한국어 의미 확장 연구 - 개념적 은유·환유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교육과정-교과서 연계성 분석틀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비교 분석 - 2022개정 교육과정 검정 6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 汉字文化圈视阈下汉字词学习的优势与障碍分析 ——以韩国为例
- 낙관적 비관주의자, 거마이(戈麦) 시(诗)의 역설과 구원
- 한·중 드라마 콘텐츠 산업 비교 연구 - 산업 구조와 글로벌 전략을 중심으로
- 16∼17세기 갤리언 무역에 의한 명대 은 유통량과 경제적 충격의 구조적 분석
- 全面抗战时期韩人在华办报活动研究——以《东方战友》为中心
- 종교다원주의 관점으로 본 천잉닝(陳攖寧) 선학(仙學)사상의 현대성 고찰
- 근대 중국의 국민경제론과 개혁방안 - 국가 주도 경제의 기원
- 농자판(农家饭), 도농 정체성, 그리고 양생 - 중국판 시골밥의 문화적 다의성
- 중국의 소프트파워 담론과 문화외교 전략 - 도전과 과제에 대한 소고
- 청년 친화성을 중심으로 한 항저우 모델 연구
- 중국의 라이브커머스에서의 왕홍(网红)의 역할과 소비자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中国对韩国签证政策的演变特征研究 —— 以2016~2024年期间为研究中心
- Z세대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동기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역량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