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과정-교과서 연계성 분석틀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비교 분석 - 2022개정 교육과정 검정 6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A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Chinese』 Textbooks Using a Curriculum-Textbook Connectivity Analysis Framework : Focusing on Six Authorized Textbooks unde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진화진(Hwa-Jin Jin) 서진현(Jin-Hyeon Seo)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2輯, 239~26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과정-교과서 연계성 분석틀을 활용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고등학교 『중국어』 검정 6종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Bloom의 인지과정(40%), CEFR 기반 난이도(30%), 교육과정 반영도(30%)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NE능률, 천재교과서, 다락원 순으로 나타났다. NE능률은 분석하기와 창안하기 중심의 고차원적 사고를 강조했고, 천재는 체계적인 CEFR 난이도 진행을 보였다. 동양북스는 교육과정 반영률에서 최고점을 기록했으나 종합 순위에서는 하위권에 머물렀다. 이것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 아이디어의 통합적 성취기준 제시 방식에 근거한 것으로, 단순한 교육과정 반영률보다 CEFR과 Bloom으로 측정되는 질적 요소가 교과서 평가에서 더욱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고의 객관적 분석틀의창안과 적용 시도는 기존 교과서 평가의 주관성을 보완하여 교과서 선택과 개발에 실증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six authorized high school Chinese textbooks aligned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using a curriculumtextbook consistency analysis framework. The analytical framework consisted of Bloom's cognitive process dimension (40%), CEFR-based proficiency levels (30%), and curriculum alignment (30%).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overall ranking: NE Neungyule, Chunjae Textbook, and Darakwon. NE Neungyule emphasized higher-order thinking skills focused on “analyzing” and “creating,” while Chunjae exhibited systematic progression in CEFR difficulty levels. Although Dongyang Books achieved the highest score in curriculum alignment, it ranked lower in the overall assessment. This outcome reflects the integrated achievement standards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uggesting that qualitative factors—measured through CEFR and Bloom's taxonomy—carry greater weight in textbook evaluation than curriculum alignment alon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is objective evaluation framework holds significance in supplementing the subjectivity of traditional textbook assessments, there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textbook selection and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2022 개정 중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연구 동향
3. 2022 개정 『중국어』 교과서와 교육과정-교과서 연계성 분석틀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화진(Hwa-Jin Jin),서진현(Jin-Hyeon Seo). (2025).교육과정-교과서 연계성 분석틀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비교 분석 - 2022개정 교육과정 검정 6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 239-264

MLA

진화진(Hwa-Jin Jin),서진현(Jin-Hyeon Seo). "교육과정-교과서 연계성 분석틀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비교 분석 - 2022개정 교육과정 검정 6종 교과서를 중심으로."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2025): 239-2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