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어 공손표현의 공손성 강도와 사용 양상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Politeness Intensity and Usage Patterns of Politeness Expressions in Chinese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오현주(Hyun-Ju Oh)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2輯, 197~21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어 공손표현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과 실제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현재의 관점에서 그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중국어 공손성 표현의 유형을 생성 단위별로 분류하여 공손성 표현의 체계를 구성하고, 중국인을 대상으로 공손 강도와 사용 빈도를 조사하였다. 음운, 어휘, 화용 층위의 21개 항목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존대 어휘는 강도와 실제 사용이반비례하고, 겸양 완곡 어휘와 화용 층위는 비례하거나 사용 빈도가 더 높다. 표지성이 강한 존대 어휘는 공식적인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고, 화용적 맥락적 방법은 이미내재화되어 습관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대의 공손표현은 적절성·시대성이 고려되고, 입체적이고 전략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Chinese speakers’ perceptions and usage patterns of politeness expressions across phonological, lexical, and pragmatic levels.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a slower speech rate, along with appropriate tone, volume,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is perceived as more polite at the phonological level. At the lexical level, honorific expressions (您, 贵, 高, 拜) are rated highly in politeness but infrequently used, except for 请, which shows proportionality between perceived politeness and frequency. Honorific titles, self-deprecating, and euphemistic expressions also demonstrate this proportionality, with teachers showing higher usage. At the pragmatic level, the frequency of use generally exceeds perceived politeness, as seen in interrogative and conditional requests, apology forms, and diminutive temporal markers, which are often habitually employed despite weaker markedness. Strongly marked honorific vocabulary is mainly reserved for formal contexts, whereas pragmatic politeness strategies are internalized in daily interac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modern politeness expression should be examined through a multidimensional and strategic lens, considering appropriateness and contemporary relevance.

목차

1. 서론
2. 공손성 생성 유형
3. 공손표현의 유형별 인식 조사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현주(Hyun-Ju Oh). (2025).중국어 공손표현의 공손성 강도와 사용 양상 분석.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 197-214

MLA

오현주(Hyun-Ju Oh). "중국어 공손표현의 공손성 강도와 사용 양상 분석."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2025): 197-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