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중 드라마 콘텐츠 산업 비교 연구 - 산업 구조와 글로벌 전략을 중심으로

이용수  6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Korean and Chinese Drama Content Industries : Focusing on Industrial Structure and Global Strategies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구경모(Kyung-Mo Koo)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2輯, 309~33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드라마 산업의 구조, 제작 방식, 정책 지원, 창작 역량, 문화적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은 민간 주도의 창작 시스템과 글로벌 OTT 협업을 통해 세계 경쟁력을 확보한 반면, 중국은 국가 주도의 규제 속에서 한국의 시스템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문헌 및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은 외주 제작, 작가 중심구조, 장르 다양화, 해외 확장이 핵심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은 OTT 중심 자율성 확대와 동시에 이념 검열이라는 한계를 보였다. 한국 드라마는 중국에 포맷과 내러티브 등에서 실질적 영향을 끼쳤고, 협력 사례도 존재하나 외교 갈등과 검열 강화는제약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향후 양국은 공동 제작과 문화 교류를 통한 상생 모델 구축 가능성이 있으며,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중 드라마 산업 비교를 통해 지속 가능한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Korea and China hold pivotal positions in the Asian cultural content market, with the drama industry serving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sectors reflecting each country’s cultural identity and industrial strategy. Korea has led the global drama market through a creative ecosystem that supports writercentered storytelling and flexible production models within a relatively autonomous, private-led environment. In contrast, China has expanded its domestic drama industry under a state-led framework, leveraging its massive domestic market, regulatory control, and platform-based infrastructu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comparative dynamic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drama industries. First, it outlines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by addressing the evolving landscape of the cultural content sector in East Asi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clarified in the context of increasing interdependence and competition in global content markets. Subsequently, the paper introduces the methodology and data sources used in the comparative analysis, along with a discussion of the scope and limitations. By presenting this analytical foundation, the study provides a structured approach to investigating how each country’s industrial structure and global strategy have shaped their respective drama sectors.

목차

1. 서론
2. 한국 드라마 산업
3. 중국 드라마 산업
4. 한국 드라마의 중국에 대한 영향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경모(Kyung-Mo Koo). (2025).한·중 드라마 콘텐츠 산업 비교 연구 - 산업 구조와 글로벌 전략을 중심으로.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 309-334

MLA

구경모(Kyung-Mo Koo). "한·중 드라마 콘텐츠 산업 비교 연구 - 산업 구조와 글로벌 전략을 중심으로."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2025): 309-3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