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ormative context and art historical value of Wen Zhengming’s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저자명
- 김숙정(Sook-jung Kim)
- 간행물 정보
- 『차문화산업학』제69집, 29~5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혜산다회도(惠山茶會圖)〉는 1518년 청명절, 명대 대표 문인 화가 문징명(文徵明, 1470–1559)이 채우(蔡羽, 1368-1644) 등 7인과 무석(無錫) 혜산(惠山)에서 가진 다회(茶會)를 기념해 제작한 것이다. 본 연구는 문징명의 생애와 화풍 변천을 시작으로 〈혜산다회도〉의 형식과 구성, 독자적 화풍, 다회가 이루어진 당시의 심적·사회적 배경 및 여행 경로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채우가 남긴 서문을 토대로 참여한 문인들의 반복된 과거 낙방과 정치적 소외라는 미래가 불투명한 사회적 처지 속에서도 차를 매개로 정신적 교유와 이상적 삶을 추구한 심적 배경이 회화에 응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작품은 전통 청록산수를 계승하면서도 인물과 산수를 독창적으로 재해석하여 문인들의 ‘소정(小情)’을 구현한 명대 대표 작품임을 논증하였다. 따라서 〈혜산다회도〉는 시서화가 결합된 명대 대표적 복합예술 작품으로서 예술사적·문헌사적 가치가 높으며 향후 참여자들의 시문학과의 연계 연구를 통해 당대 차 문화와 문인 정신에 대한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psychological and artistic development of Wen Zhengming’s painting, . Wen Zhengming (1470–1559), a leading mid-Ming literati painter created this work in 1518 to commemorate a tea gathering at Mount Hui in Wuxi during the Qingming Festival with Cai Yu and five other peers. The work represents high art-historical value as it exemplifies Ming literati art, uniting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This paper aims to explore its format, composition, distinctive style, and the socio-psychological background of its creation, including the travel routes of the participants. In doing so, this study argues that the painting reinterprets the blue-and-green landscape tradition, merging figure and landscape to convey the xiao qing (small sentiments) of literati life and the ways in which the Ming scholars sought spiritual fellowship and an ideal way of life through tea gatherings despite repeated examination failures and political marginaliz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문징명의 생애와 화풍의 변천
Ⅲ. <혜산다회도>의 형성 배경
Ⅳ. <혜산다회도>의 형식과 구성
Ⅴ. <혜산다회도>에 나타난 문징명의 독자적 화풍
Ⅵ.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돗물의 정수 방식이 홍차 침출수의 맛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문징명〈혜산다회도〉의 형성배경과 예술사적 가치
- 조선후기 여항문인 박윤묵의 차생활이 일상에 주는 의미
- 대한제국기 황실 차 문화 변화 고찰
- Skin-Protective and Anti-Wrinkl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from Green Tea Seed Shell
- 한국 차문화의 효율적 해외 전파를 위한 차박물관 도슨트 역량 탐색 연구
- 황칠차를 활용한 차 치유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연구 - 스트레스·우울·수면 질 개선을 중심으로
- 국내의 콤부차 연구 동향과 기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Introduction: Venturing into Planetary Infrastructural Thinking
- International Journal of Diaspora&Cultural Criticism Vol.15 No.2 Contents
- 인류세의 기후-인프라: 인프라 인문학의 관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