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6∼17세기 갤리언 무역에 의한 명대 은 유통량과 경제적 충격의 구조적 분석

이용수  3

영문명
A Structural Analysis of Silver Circulation and Economic Impact on the Ming Dynasty Caused by the 16th–17th Century Galleon Trade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최명호(Myoung-Ho Choi)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2輯, 335~35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6~17세기 갤리언 무역을 통해 명 제국에 유입된 은화의 규모와 그것이 일으킨 구조적 경제변화를 분석하였다. 라틴아메리카 은광에서 생산된 대량의 은화가 스페인과 마닐라를 거쳐 중국에 집중적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명 제국은 세계 은 시장의 핵심 수요처로 부상하였다. 연간 100~200톤에 달하는 임계 은화 유입량은 명대 경제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로 기능하였으며, 일조편법 시행 이후 국가 재정의 70% 이상이 은화에 의존하는 구조가 확립되었다. 만리장성 재건축을 비롯한 대규모 국가사업들은 은화의 국내 유통 촉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였으나, 외부 은화공급의 급격한 감소는 인플레이션에서 디플레이션으로의 급속한 경제 전환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세수 감소, 사회불안정, 농민반란 등 왕조 붕괴의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cademic paper examines the structural impact of the galleon trade on the Ming Dynasty's economy during the 16th and 17th centuries. It focuses on how the massive influx of silver from Latin America, channeled through Spain and Manila, transformed the Ming Empire into a central player in the global silver market. The study argues that a critical annual silver inflow of 100-200 tons was vital for the stability of the Ming economy. The paper analyzes the multifaceted consequences of this silver-driven economy. While reforms like the Single-Whip Law (一條鞭法) and large-scale state projects such as the reconstruction of the Great Wall initially boosted economic activity, they also made the empire's fiscal system overly dependent on external silver supplies. The subsequent sharp decline in silver imports triggered a rapid economic shift from inflation to deflation, leading to severe fiscal crises, social unrest, and ultimately, the dynasty's collapse. By synthesizing research from Anglo-American, Iberian, and Chinese academic traditions, this analysis provides an empirical account of the complex dynamics of the Ming silver economy. It highlights the inherent risks of an economic structure reliant on foreign factors and the dual effects of institutional reforms. The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a more nuanced, comparative-historical approach is needed to fully understand the long-term changes in the East Asian silver economy.

목차

1. 서론
2. 갤리언 무역과 전 지구적 은 유통
3. 명 제국 내 은 유입과 화폐경제의 구조적 전환
4. 명 제국 내 은 유입과 경기 변동의 임계 메커니즘
5. 제도 및 비교사적 관점에서 본 가격혁명과 명 제국의 차이
6. 재정 위기의 구조적 원인과 명 왕조의 몰락
7.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명호(Myoung-Ho Choi). (2025).16∼17세기 갤리언 무역에 의한 명대 은 유통량과 경제적 충격의 구조적 분석.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 335-351

MLA

최명호(Myoung-Ho Choi). "16∼17세기 갤리언 무역에 의한 명대 은 유통량과 경제적 충격의 구조적 분석."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2025): 335-3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