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ignificance of tea life in the daily routine of Park Yun-muk, a Yeohangmunin(commoner literati)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 국제차문화학회
- 저자명
- 김신자(Shin-Ja Kim)
- 간행물 정보
- 『차문화산업학』제69집, 51~8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 후기의 차생활이 수평적으로 확산되는데 여항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여항인 중 대표 문인으로 언급되는 박윤묵의 차생활이 그의 일상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그의 저서 『존재집』에 수록된 차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차생활의 의미를 일상의 소소한 기쁨, 자연의 이치에 따르는 성숙한 삶, 청한의 향유, 다사 지식의 향유로 표현됨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박윤묵이 차생활을 통해 그의 일상생활을 강화하고 풍요롭게 했으며, 개인적 삶의 성숙을 이루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동시에 청한의 여유를 누렸음을 보여준다. 이는 차 생활이 일상적 행복의 추구와 궤를 같이함을 시사한다. 이처럼 일상속에서 의미있는 행복을 제공하는 차 생활은 그의 삶은 물론, 조선후기 차문화가 대중으로 확산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가 조선 후기 여항인들의 차문화 부흥 현상을 규명하는 데 향후 연구의 기초적인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commoners (yeohangin) in the horizontal spread of tea cultur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In particular, it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ea practices in the daily life of Park Yun-muk, a leading literary figure among the yeohangin. The research method centers on analyzing tea-related poems found in Park Yun-muk’s anthology, Jonjaejip, revealing that the meanings of tea life are expressed as small daily pleasures, a mature life aligned with the principles of nature, the enjoyment of purity and leisure (cheonghan), and the intellectual appreciation of tea-related knowledge (dasa). The results show that Park Yun-muk, through his engagement with tea, reinforced and enriched his daily life, achieved personal maturity, fostered social empathy, and enjoyed moments of serene leisure. This suggests that tea culture was closely linked with the pursuit of everyday happiness. Thus, it can be seen that tea life, which provided meaningful happiness in daily life, played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his life but also in shaping the refined culture of the late Joseon period. This study hopes to serve as a foundational step for future research on the revival of tea culture among the yeohanginin the late Joseon dynasty.
목차
Ⅰ. 서 론
Ⅱ. 생애와 시사 동인의 차생활
Ⅲ. 차생활이 일상에 주는 의미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돗물의 정수 방식이 홍차 침출수의 맛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문징명〈혜산다회도〉의 형성배경과 예술사적 가치
- 조선후기 여항문인 박윤묵의 차생활이 일상에 주는 의미
- 대한제국기 황실 차 문화 변화 고찰
- Skin-Protective and Anti-Wrinkl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from Green Tea Seed Shell
- 한국 차문화의 효율적 해외 전파를 위한 차박물관 도슨트 역량 탐색 연구
- 황칠차를 활용한 차 치유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연구 - 스트레스·우울·수면 질 개선을 중심으로
- 국내의 콤부차 연구 동향과 기사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