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회귀 모티프 웹소설 창작 실험 - 창작 주체로서의 ChatGPT에 관한 고찰

이용수  3

영문명
An Experimental Study on Creating Regression Motif Web Novel Using Generative AI : A Consideration of ChatGPT as a Creative Agent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엄채민(Chae-min Eom) 서덕순(Duk-soon Seo)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40집, 583~61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 ChatGPT를 활용한 회귀 모티프 웹소설 창작을 시도하고 그 과정과 결과로 ChatGPT의 창작 주체로서의 가능성과 한계를 고찰함으로써 문학과 인공지능을 함께 거론하는 논의의 장을 확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hatGPT로 하여금 회귀 모티프의 기본 특징과 서사구조를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으며 이후 해당 모티프를 기반으로 한 서사 창작을 실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ChatGPT가 충분한 학습 과정을 거친 뒤에는 회귀 모티프를 바탕으로 서사구조를 구체화하고, 일정 수준의 창작 결과물을 생성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그 출력 양상은 단순한 보조 기능을 넘어, 사용자의 프롬프트에 능동적으로 반응하며 창작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등 창작 주체로서의 면모를 일정 부분 드러내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반복적 서사구조에 대한 의존 등 ChatGPT의 자율성 한계, 저작권 및 창작 개념 영역에 대한 판단의 모호성 등 여러 쟁점이 동시에 제기될 가능성이 드러났으며, 이는 AI와 예술적 주체, 기술과 창작 사이의 경계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요구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구체적 창작 사례 분석을 통해 문학과 인공지능을 연결하는 융합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결과물의 판단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방향성을 모색한 사례로서 의의를 지닐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ChatGPT as a creative agent through an experiment in writing a web novel based on the “regression” motif. By guiding the model to internalize the motif’s core narrative structures, the research examines how generative AI can engage with literary conventions not only as a tool, but as a collaborative participant in the creative process. The results reveal that, when sufficiently prompted, ChatGPT can generate coherent narrative structures and suggest directions in storytelling. While this hints at a degree of creative agency, the experiment also exposes significant constraints, including limited autonomy, structural repetition, and ambiguity in authorship and originality. These findings invite further reflection on the evolving boundaries between human and machine in literary creation. This case contributes to the growing discourse on the intersection of literatu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offering a grounded example of how narrative form, authorship, and technology may converge.

목차

1. 서론
2. ChatGPT를 활용한 회귀 모티프 웹소설 서사 창작 실험
3. 창작 주체로서의 ChatGPT 고찰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채민(Chae-min Eom),서덕순(Duk-soon Seo). (2025).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회귀 모티프 웹소설 창작 실험 - 창작 주체로서의 ChatGPT에 관한 고찰. 구보학보, (), 583-617

MLA

엄채민(Chae-min Eom),서덕순(Duk-soon Seo).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회귀 모티프 웹소설 창작 실험 - 창작 주체로서의 ChatGPT에 관한 고찰." 구보학보, (2025): 583-6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