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말봉의 『밀림』(1935-1938)에 드러난 식민지적 자본주의 비판 - 축항 지대 노동자들의 파업과 사회주의자에 대한 재현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Colonial Capitalism in Kim Malbong’s Jungle(1935-1938) - The Strike of Construction Workers at a Port and the Representation of Socialists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배상미(Sangmi Bae)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40집, 185~21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김말봉의 『밀림』이 식민지 조선의 식민지적 자본주의를 재현하는 양상을 소설 속 인천 축항지대에서의 노동자들의 파업과 사회주의자 재현 양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김말봉의 소설은 인천 축항과 관련된 토목사업과 이곳의 노동 환경이 당시 식민지 조선의 식민지적 자본주의의 성격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를 넘어설 수 있는 가능성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주동인물들이 사회주의에 공감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식민지적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사상적 자원으로서 사회주의를 삽입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 소설은 1930년대 중반 대표적인 프롤레타리아 장편소설인 강경애의 『인간문제』와도 유사점을 공유한다. 이 점은 김말봉의 소설이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유산을 활용하여, 식민지적 자본주의를 노동자의 파업과 사회주의를 통해 비판적으로 재현하는 작품으로 평가될 만한 부분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 시도한 것처럼, 앞으로 김말봉의 소설을 ‘통속’을 넘어, 그녀의 소설에 나타난 사상적 다층성과 사회비판적 메시지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성장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colonial capitalism in colonial Korea in Kim Malbong’s Jungle focusing on the strikes by construction workers in Incheon Port. Kim’s novel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colonial modernity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colonial capitalism in colonial Korea through the civil engineering project and the working conditions for the project. Also, the novel includes socialism as the theoretical resource to criticize the capitalism through the two protagonists to sympathize with socialist ideas. Furthermore, this novel shares similarities to Kang Kyŏngae’s Human Predicament, the representative proletarian novel in the middle of 1930s. Considering these similarities, Kim’s novel can be evaluated as a literary work to critically portray the capitalism drawing on workers’ strikes and socialism with the engagement of the legacy of proletarian literature. Therefore, this article demonstrates how Kim’s popular literature not only reflects critical social recognition but also perpetuates the revolutionary ideas inherited from proletarian literature.
목차
1. 들어가며
2. 인천 축항 지대 노동자들의 파업과 식민지적 자본주의 넘어서기
3. 식민지적 자본주의를 비판하기 위한 사상적 자원으로서의 사회주의
4. 김말봉의 『밀림』과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유산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방기 출판계와 편집자 조풍연
- 해방기 『주간서울』 수록 소설의 현실 인식과 정치성
- 세계문학으로서의 민족문학 세우기 - 해방기 『문예』를 중심으로
- 공초 오상순 집필 작문교과서 『중등작문』(1952)에 대한 기초적 연구
- 김말봉의 『밀림』(1935-1938)에 드러난 식민지적 자본주의 비판 - 축항 지대 노동자들의 파업과 사회주의자에 대한 재현을 중심으로
- 김태오 『초원』의 장르 배치 연구
- ‘부끄러움’에 관한 자기서사로서의 소설 형식 - 김사량의 「유치장에서 만난 사나이」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하여
- 강신재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분노’의 목소리와 여성 창작자의 딜레마
- 향기로운 자본주의 바람에 대항하기 위해서 - 1960년대 북한문학의 변화와 번역극 <네온등 밑의 초병>
- 동원된 군인/군속, 귀환할 수 없는 전범 -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인 청년의 전쟁 책임과 월경의 (불)가능성
- 이문구의 문학적 실천과 양식적 실험 - 1974~1989년 활동을 중심으로
- 1980년대 중산층 가정 문화 담론의 생산과 전시 - 여성 잡지 『샘이깊은물』을 중심으로
- 김중혁 소설 속 죽음과 모빌리티
- 한국 SF의 인공지능과 공감의 아포리아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회귀 모티프 웹소설 창작 실험 - 창작 주체로서의 ChatGPT에 관한 고찰
- 구보, 동경, 그리고 책 읽는 청소부
- 구보학회 20년을 돌아보다
- 20년, 함께 걸어온 길
- 구보 선생을 모시고 걷던 그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