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splacement of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and the Role of Translation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김민선(Min-sun Kim)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40집, 331~37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1963년 번역된 중국의 희고 「네온등 밑의 초병」의 번역과 수용을 중심으로 1960년대 북한 문학장의 변화와 번역의 정치적, 문화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네온등 밑의 초병」은 이례적으로 북한의 문학잡지에 전문이 게재되었으며 원작의 작가와 배우를 초대하여 대대적인 선전과 함께 공연되었다. 연극 <네온등 밑의 초병>은 북한과 중국의 수교를 기념하여 공연되어 다양한 관람객과 비평가들의 평가 텍스트를 남겼다. 따라서 1960년대 북한의 외교적 변화를 포함하여, 중국 및 제3세계 문학예술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교류의 맥락을 고려하되, 왜 이 연극이 선택되었는가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중국의 17년 시기에 창작된 「네온등 밑의 초병」은 자본주의 문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계와 사회주의 문화 규범의 정착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 텍스트는 북한에서 번역되면서, ‘향기로운 바람’으로 표현되는 자본주의 문화의 영향에 대한 경계라는 원본의 의미와 함께 국제 수정주의에 대항하는 연대의 의미를 획득하였다. 특히 이 희곡이 번역되었던 1960년대 초반의 북한문학은 희곡과 시나리오 창작에 대한 요청과, 국제 수정주의를 비판하는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즉, 이 희곡의 번역과 공연은 소련문학 중심에서 중국과 제3세계 문학예술 중심의 세계문학으로 전환되던 때의 북한 번역문학장의 변화를 보여주는 한 지점이었다. 그러므로 이 글은 이 희곡의 번역과 공연의 맥락에 주목하여 북한문학에서 번역이 언어의 전환이자 당시의 맥락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고 때로는 원본의 의미를 전유하는 지점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ranslation and reception of the 1963 Chinese play Sentinel Under the Neon Light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North Korean literary scene in the 1960s and the politic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ranslation. The novel was published in its entirety in a North Korean literary magazine and performed with great propaganda, inviting the original author and actors. The play was performed to commemorat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leaving behind a wide range of audience and critical texts. Therefore, we analyze why this play was chosen, taking into account the context of cultural exchanges centered on Chinese and Third World literary and artistic arts, including North Korea's diplomatic changes in the 1960s.
Created during the 17th century in China, Sentinel Under the Neon Lightscarries a message of vigilance against the influence of capitalist cul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ist cultural norms. In its translation from North Korea, the text acquired a sense of solidarity against international revisionism alongside its original meaning of caution against the influence of capitalist culture, represented by the “fragrant wind. In particular, North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1960s, when the play was translated, was in the midst of a call for the creation of plays and screenplays, and a debate criticizing international revisionism. In other words, the translation and performance of the play was a point of change in the North Korean translation literary scene during the transition from Soviet literature to world literature centered on Chinese and Third World literary arts.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at translation in North Korean literature is a linguistic transition and a point where new meanings are acquir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time, sometimes appropriating the original meaning.
목차
1. 기획된 번역극
2. ‘향기로운 바람’에 현혹되지 않는 투쟁
3. 사회주의적 감성의 견고화와 국제주의
4. 수정주의의 향기로운 바람에 대항하여 - 1960년대 북한문학의 수정주의 논쟁과 번역
5. <네온등 밑의 초병>과 <네온등밑의 초병> - 북한 문학예술에서 번역이란 무엇인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방기 출판계와 편집자 조풍연
- 해방기 『주간서울』 수록 소설의 현실 인식과 정치성
- 세계문학으로서의 민족문학 세우기 - 해방기 『문예』를 중심으로
- 공초 오상순 집필 작문교과서 『중등작문』(1952)에 대한 기초적 연구
- 김말봉의 『밀림』(1935-1938)에 드러난 식민지적 자본주의 비판 - 축항 지대 노동자들의 파업과 사회주의자에 대한 재현을 중심으로
- 김태오 『초원』의 장르 배치 연구
- ‘부끄러움’에 관한 자기서사로서의 소설 형식 - 김사량의 「유치장에서 만난 사나이」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하여
- 강신재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분노’의 목소리와 여성 창작자의 딜레마
- 향기로운 자본주의 바람에 대항하기 위해서 - 1960년대 북한문학의 변화와 번역극 <네온등 밑의 초병>
- 동원된 군인/군속, 귀환할 수 없는 전범 -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인 청년의 전쟁 책임과 월경의 (불)가능성
- 이문구의 문학적 실천과 양식적 실험 - 1974~1989년 활동을 중심으로
- 1980년대 중산층 가정 문화 담론의 생산과 전시 - 여성 잡지 『샘이깊은물』을 중심으로
- 김중혁 소설 속 죽음과 모빌리티
- 한국 SF의 인공지능과 공감의 아포리아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회귀 모티프 웹소설 창작 실험 - 창작 주체로서의 ChatGPT에 관한 고찰
- 구보, 동경, 그리고 책 읽는 청소부
- 구보학회 20년을 돌아보다
- 20년, 함께 걸어온 길
- 구보 선생을 모시고 걷던 그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