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 of Reality and Political Stance of Fiction Published in Weekly Seoul during Liberation Period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저자명
- 안서현(Seo-hyun Ahn)
- 간행물 정보
- 『구보학보』40집, 61~9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해방기 서울신문사에서 발간된 『주간서울』의 매체 특성과 수록 소설의 정치성을 논의하였다. 자매지 『신천지』와 마찬가지로 중간파의 정치적 인식을 반영한 것이 특징으로, 이는 소설 및 콩트 지면에도 강력한 연계성을 가지고 드러난다. 단독 정부 수립 전후로 중간파가 겪은 현실과의 갈등 양상이 소설들에 표현되어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해방기에 그 당위성이 주장되던 토지개혁이나 반민자 처벌과 같은 개혁이 지연되는 사태에 대한 문제의식을 나타냈다. 둘째, 단독 선거와 단독 정부 수립 이후 요원해져 가는 남북통일에 대한 위기감을 표현하였다. 셋째로는 단선 단정 반대에서 비롯된 제주와 여수・순천 사건의 비극성에 대한 인식을 드러냈다. 그러나 정부와의 대립 심화로 모지(母紙) 서울신문이 정간 사건을 겪게 됨에 따라 군경 토벌대의 입장을 그린 소설이 실리는 변화가 나타난다. 이 변화는 매체 특성과 수록 소설이 연관성을 보인 사례로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주간서울』은 중간파 그룹의 현실 감각을 반영한 담론과 문학이 펼쳐지는 장이자 대중계몽의 성격을 강화한 잡지로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반제 반봉건, 좌우 합작, 남북 협상, 단정 반대 등 당면 의제에 관한 이들의 정치적 입장을 반영한 수록 소설들은, 독자 대중에게 각종 현안에 관한 중간파의 문제의식을 환기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주간서울』 수록 소설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제한적으로 논의된 해방기 중간파 문학에 확장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Weekly Seoul, published by the Seoul Newspaper Company during Korea's liberation period, and analyzes the political stance of the short stories it featured. Like the company's other monthly publication Shincheonji, Weekly Seoul reflected the political views of moderate political groups, a characteristic strongly evident in the short stories published in the magazine. The conflicts between moderate groups and the government, both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government in South Korea, are expressed through these short stories.
An analysis of the story content reveals three major themes. First, there is a critical awareness of delays in essential reforms such as land redistribution and the punishment of Japanese collaborators—issues considered urgent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Second, there is a growing sense of crisis regarding the diminishing prospects for Korean reunification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government covering only South Korea. Third, there is an awareness of the tragic nature of the Jeju Uprising and the Yeosu-Suncheon Rebellion, both of which originated from opposition to unilateral elections and government formation.
However, as conflicts between the magazine and the government intensified and the parent company Seoul Newspaper was eventually suspended, a notable shift emerged: short stories began to appear that depicted the perspectives and sentiments of military and police suppression forces. This transformation warrants discussion as it demonstrates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media circumstances and the literary content published.
Weekly Seoul served as a crucial platform for discourse and literature reflecting the realistic sensibilities of moderate political groups while strengthening its role as a vehicle for public enlightenment. The short stories published in the magazine reflected the political stance of moderate factions on pressing contemporary issues including anti-imperialism, anti- feudalism, left-right political collaboration, North-South negotiations, and opposition to national division. These stories served to remind readers of moderate groups' concerns regarding various current issues. Therefore, through analysis of the short stories published in Weekly Seoul, it becomes possible to approach the literature of political moderat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rom an expanded perspective that goes beyond the limited scope of existing research.
목차
1. 서론
2. 반제 반봉건의 개혁 과제와 지연의 감각
3. 분단 고착화의 우려와 단독 선거의 위기감
4. 남도와 제주의 소식을 전하는 두 가지 목소리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방기 출판계와 편집자 조풍연
- 해방기 『주간서울』 수록 소설의 현실 인식과 정치성
- 세계문학으로서의 민족문학 세우기 - 해방기 『문예』를 중심으로
- 공초 오상순 집필 작문교과서 『중등작문』(1952)에 대한 기초적 연구
- 김말봉의 『밀림』(1935-1938)에 드러난 식민지적 자본주의 비판 - 축항 지대 노동자들의 파업과 사회주의자에 대한 재현을 중심으로
- 김태오 『초원』의 장르 배치 연구
- ‘부끄러움’에 관한 자기서사로서의 소설 형식 - 김사량의 「유치장에서 만난 사나이」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하여
- 강신재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분노’의 목소리와 여성 창작자의 딜레마
- 향기로운 자본주의 바람에 대항하기 위해서 - 1960년대 북한문학의 변화와 번역극 <네온등 밑의 초병>
- 동원된 군인/군속, 귀환할 수 없는 전범 -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식민지 조선인 청년의 전쟁 책임과 월경의 (불)가능성
- 이문구의 문학적 실천과 양식적 실험 - 1974~1989년 활동을 중심으로
- 1980년대 중산층 가정 문화 담론의 생산과 전시 - 여성 잡지 『샘이깊은물』을 중심으로
- 김중혁 소설 속 죽음과 모빌리티
- 한국 SF의 인공지능과 공감의 아포리아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회귀 모티프 웹소설 창작 실험 - 창작 주체로서의 ChatGPT에 관한 고찰
- 구보, 동경, 그리고 책 읽는 청소부
- 구보학회 20년을 돌아보다
- 20년, 함께 걸어온 길
- 구보 선생을 모시고 걷던 그때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