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跨文化传播视阈下韩中真人秀综艺发展策略研究 - 以〈Running Man〉和〈奔跑吧〉为例

이용수  21

영문명
Research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n-Chinese Reality TV Variety Shows under the Threshold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Taking ‘Running Man’ and ‘Let's Run’ as an Example
발행기관
중국인문학회
저자명
刘杏 郑东补
간행물 정보
『중국인문과학 』제90집, 255~27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글로벌 미디어 지형의 재편 속에서 디지털 플랫폼을 매개로 한 문화콘텐츠의 초국경적 유통이 가속화되면서, 국가 간 문화교류의 양상 또한 근본적인 변화를 맞고 있다. 특히 다문화 소통을 주요 서사 전략으로 채택하는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은 다양한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국경을 넘어 빠르게 수용자층을 확보하며, 크로스미디어 서사와 국제 문화 확산의 핵심적 동력으로 기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에서 인기가 높은 대표적인 야외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인 <런닝맨(Running Man)>과 중국판 <런닝맨(Running Man)>인 <번파오바(奔跑吧)> 를 비교·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두 프로그램의 기획 및 방영을추동한 사회·문화적 맥락과 방송 산업의 구조적 변동을 고찰하고, 프로그램의 실제 수용자들이 미디어 텍스트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실증적 규명에 있다. 이를위해 중국의 대표적 동영상 플랫폼 빌리빌리(Bilibili)에서 수집한 탄막(弹幕)의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포맷과 콘텐츠 구성에서 나타난 서사의 전략과 수용자의 반응 특성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다문화 사회 내에서 해당 프로그램들이 어떠한 경로로 수용되는지, 또 어떻게 재맥락화되는지를 추적함으로써, 미디어 콘텐츠가 문화교류를 촉진하는 구체적인 기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리얼리티 예능의 기획과 발전을 위한 실천적 전략을 제시할 것이다. 또 나아가 국제 문화교류의 질적 심화를 위한 콘텐츠의 제작 및 유통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Amidst the restructuring of the global media landscape, the cross-border distribution of cultural content via digital platforms is accelerating, bring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in the nature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countries. In particular, 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that adopt multicultural communication as their main narrative strategy are rapidly gaining audiences across borders through various media platforms, functioning as a key driving force for cross-media narratives and the spread of international culture. These programs have expanded beyond mere entertainment content consumption to become symbolic brands of transnational cultural dissemination, establishing significant recognition and influence. This study sets as its subject of comparison and analysis the representative outdoor 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 popular in both South Korea and China: Running Man and its Chinese version, Bēn Pào Bā(奔跑吧).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at drove the planning and broadcasting of the two programs, as well as structural change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and to empirically clarify how actual viewers interact with media texts. To this end, data from comments collected on Bilibili, a representative video platform in China, was analyzed in depth. Through this, the narrative strategies and audience respons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format and content composition were derived. This paper examines the specific mechanisms through which media content promotes cultural exchange by tracing how these programs are received and recontextualized within a multicultural society. Ultimate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reality entertainment programswill be proposed. Furthermore, it aim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ont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목차

Ⅰ. 导言
Ⅱ. 研究背景和发展现状
Ⅲ. 传播特征与效果
Ⅳ. 结语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刘杏,郑东补. (2025).跨文化传播视阈下韩中真人秀综艺发展策略研究 - 以〈Running Man〉和〈奔跑吧〉为例. 중국인문과학 , (), 255-270

MLA

刘杏,郑东补. "跨文化传播视阈下韩中真人秀综艺发展策略研究 - 以〈Running Man〉和〈奔跑吧〉为例." 중국인문과학 , (2025): 255-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