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conographic Analysis of the Dragon Mother Sacred Festival Banners - A Case Study of Dragon Mother Worship in Wendeng, Weihai, Shandong Province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XIN FENGYU 김원경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90집, 155~1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龙母圣会는 국가급 무형문화유산으로서 기존 연구는 주로 용모의 기원, 신앙 및 효(孝)문화 전승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상학 이론에 기반한 龙母圣会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특히 산둥 문등(文登) 지역의 龙母圣会에서 사용되는 번기(幡旗)에 대한 도상학적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상학이론을 기반으로, 龙母圣会 번기의 ‘콘텍스트”를 분석의 출발점으로 삼아, 성숙(星宿) 번기 양식의 세속화 특징, 번기 도상의 색채적 함의, 부록(符籙) 기호와 한자의 변천관계와 표현의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나아가 龙母圣会 번기 배후의 은유적 서사를 검토하며, 그 이면의 이데올로기와 정치적 교화를 분석함으로써 龙母圣会 신앙 배후의 사회형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초를 기반으로 본 연구가 지역 민속 신앙의 도상 표현에 대한 학문적 공백을 메우고, 향후 관련 논의에 이론적 근거와 자료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s a form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Longmu Sacred Assembly has received considerable scholarly attention. However, most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origins of Longmu, her associated belief system, and the transmission of filial piety culture. Research grounded in iconographic theory regard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Longmu Sacred Assembly remains limited. In particular, there is a notable absence of iconographic analysis concerning the banners (幡旗) used in the Longmu Sacred Assembly in the Wendeng region of Shandong.This study, based on iconographic theory, takes the “contextual” form of the Longmu Sacred Assembly banners as a point of entry. It analyzes the secularized characteristics of the star deity (星宿) banner style, the chromatic order and implications within the banner image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ulu (符箓) symbols and the evolution of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non-verbal forms of expression.Secondly, this study reveals the integration of diverse cultural elements inherent in the Longmu belief system. The iconography of the banners synthesizes core ideas from the major religions of Confucianism, Daoism, and Buddhism, while also incorporating astronomical and stellar symbols and elements from traditional theatrical arts. This multifaceted and syncretic religious-cultural integration reflects the artistic creativity and worldview (“Tianxia view” 天下觀) of the local population in Wendeng from the 19th to early 20th century.Lastly, this study examines the metaphorical narratives embedded in the banners of the Longmu Sacred Assembly and analyzes the underlying ideological and political didacticism. Through this, it aims to elucidate the social structures underlying the Longmu faith. By interrogating the socio-cultural dimensions of the banners, the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popular belief and state ideology are interwoven through metaphor and symbolic pedagogy.On this basis, the research fills an academic gap in the study of visual expressions within local folk belief systems and provides both theoretical grounding and material foundation for future scholarly inquiries.
목차
I. 绪论
II. 母圣会幡旗遗存的辨识
III. 龙母圣会幡旗的“语境”形式
IV. 龙母圣会幡旗的象征意义
V. 龙母圣会幡旗的图像学阐释
VI. 结语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國際中文敎育中文水平等級標準』에 기반한 중국어 교재 문법 항목 적절성 분석
- 李善注《文選》引《論語讖》芻議
- 假设关系连词“如果”的中韩对比研究 - 结合韩语母语者中介语偏误分析
- 병렬코퍼스를 활용한 중·한 대조 분석 試探 - 중국어 부정부사 ‘不’, ‘沒’의 한국어 대응양상 실례를 중심으로
- 현대중국어의 유사 의미를 갖는 VC구조 연구 - 보어 ‘到’와 ‘见’을 중심으로
- 申綽 『詩次故』 속 ‘-按’注 에 대한 小考 - 『國風』 160수를 중심으로
- “一带一路”视角下的中国典籍外译之路 - 基于《红楼梦》双关语的日译考察
- 浅析CCTV纪录片《三坊七巷》 运用文化记忆构建国家认同
- 龙母圣会幡旗图像学分析 - 以山东威海文登地区的龙母信仰为例
- 于莲客艺术活动初考
- 跨文化传播视阈下韩中真人秀综艺发展策略研究 - 以〈Running Man〉和〈奔跑吧〉为例
- 중국인문과학 제90집 목차
- 『孔子聖迹之圖碑』 硏究
- 해방 이전 간도·만주 조선인 음악의디아스포라 정체성 연구 - 역사적 전환점과 시대적 양상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