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SRAEL/PALESTINE ISSUE AND EAST ASIA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저자명
- 우카이 사토시(Ukai, Satoshi)
- 간행물 정보
- 『동방학지』제212집,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스라엘인이 집단적 허위의식에서 벗어나 팔레스타인인에게 평등한 권리를 인정하는 것이 분쟁 해결의 열쇠이다. 이스라엘은 선주민으로부터 뺏은 땅 위에 건설된 식민지 국가이며, 정착식민주의로서의 그 본질에 대한 이해는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의 남아프리카와의 유비를 통해 심화된다. 시오니즘은 제노사이드에 대한 경향을 포함하여 동시대의 일본 제국주의와 많은 유사점이 있다. 유럽 유대인의 홀로코스트와 팔레스타인의 종족청소의 비교를 금지하는 팔레스타인인의 비인간화, 동물화는 이스라엘의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근간을 이룬다. 트럼프 정권하의 미국에서 반(反)시오니스트 유대인들은 마이너리티의 교차적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동아시아에서도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은 모든 억압된 공동체의 해방을 추구할 것이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Palestinian historian Rashid Khalidi, the key to the solution of the conflict resides in how Israelis can get out of their false self-image of eternal victim and come to recognize equal right to Palestinians. Israel is a colonial state built upon the land appropriated by a violent expel of indigenous people. Its foundation is a typical example of settler colonialism, the nature of which a prudent analogy with the case of South Africa under the Apartheid regime helps us to understand. Zionism movement also shows many similarities with contemporaneous Japanese imperialism, during its invasion and rule of Korea and of some part of China, including their common irrepressible penchant to genocide. Settler colonialism is inseparable with a hyper military organization of its community. Dehumanization, even animalization of Palestinians by Israelis politicians as well as by ordinary people facilitates and rationalizes their cruel treatment. The prohibition of the comparison between Jewish holocaust in Europe and ethnic cleansing of Palestine is essential for the construction of Israeli national identity. With the return of Donald Trump as US president, antizionist American Jews stress on the importance of intersectional solidarity of different ethnic, racial, religious or sexual minorities, which now are harshly repressed by public power. They also affirm that solidarity with Palestinian people constitutes a front line of the collective resistance. Under those circumstances, international popular movement against the genocide in Gaza, also in East Asia, tends to aspire for the liberation of any oppressed communities.
목차
1. 제노사이드를 막지 못하는 세계와 <우리>
2. 팔레스타인인과 이스라엘인, 제노사이드 한가운데서의 대화
3. 정치적 유비(類比)와 역사적 유비
4. 20세기 초반의 조선·만주와 팔레스타인
5. ‘인간동물’이란 무엇인가?
6. 인종차별주의와 종차별주의 ― 정치에 있어 <동물>이라는 물음
7. 나가며 ― ‘우리’의 자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와 동아시아
- [서평] 요시다의 군중과 그 정치의 가능성: 요시다 유타카, 『갖지 못한 자들의 문학사』(2024, 보고사)를 읽고
- 민중을 감각하게 만드는 문학: 影本剛, 『近代朝鮮文学と民衆―三·一運動, プロレタリア, 移民, 動員)』(春風社, 2024)
- 중국 조선족 여성 문학에 나타난 역사적 트라우마 - 리혜선의 집체호(集體戶) 서사를 중심으로
- 신라 상대 품주(稟主)의 정비와 그 성격
- 後百濟와 後唐 간의 對外交涉에 관한 연구
- 19세기 후반, 성당창 사공의 생업과 조행 활동
- 외국인의 지도와 사진에 나타난 서울의 종교 공간의 변화 - 개신교와 일본 종교의 확산을 중심으로, 1884~1915년
- 『하곡수어(荷谷粹語)』에서 『해동야언(海東野言)』으로: 『해동야언』의 성책 과정에 대하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