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중을 감각하게 만드는 문학: 影本剛, 『近代朝鮮文学と民衆―三·一運動, プロレタリア, 移民, 動員)』(春風社, 2024)

이용수  0

영문명
Literature that Makes the People Sensible: Tsuyoshi Kagemoto,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the People-The March First Movement, Proletariat, Migration, and Mobilization (Shumpūsha, 2024)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조은애(Eunae Cho)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제212집, 45~6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가게모토 츠요시(影本剛)의 『근대 조선문학과 민중: 3·1운동, 프롤레타리아, 이민, 동원』(2024)을 분석하며, 근대조선문학을 지금 여기에서 민중 개념으로 다시 읽는 시도가 가진 의의를 검토한 서평이다. 저자는 작가=지식인이 민중과의 만남 속에서 자기변혁을 겪는 과정에 주목하며, 마르크스의 ‘상대적 과잉인구’ 개념을 원용해 민중을 관계적 개념으로 설정한다. 3·1운동 이후 지식인의 내적 동요와 민중에 대한 수평적 관계 모색, 프로문학의 계몽적 한계를 넘어선 비당파적 만남의 시도 등이 주요 분석 대상이다. 또한 일본 내 조선인의 삶을 통해 드러나는 인종적 위계와 민중의 힘, 그리고 전시동원체제 속에서 ‘프롤레타리아’가 ‘국민’으로 호명되며 유용성의 조건 변화에 따라 ‘쓰레기’가 재배치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추적한다. 본 서평이 이 책에서 심층적으로 논하고자 한 것은 민중 기술의 구체적 방법으로서 저자가 의식하고 있는 ‘운동성’이라는 표현과, 전시동원체제 하에서 민중의 위치를 새롭게 포착하는 ‘재배치’의 과정이다. 비록 이 책이 운동성을 이론적인 개념으로 체계화하는 것은 아니지만, 민중을 고정된 범주로 환원하지 않고 관계와 긴장 속에서 재구성하려는 시도가 그 원리와 맞닿아 설명된다. 한편 이기영의 소설을 통해 제시되는 ‘재배치’ 개념은 전시동원체제 하의 가치 변환과 민중의 위치 변화를 흥미롭게 포착한다. 본 서평은 이러한 사유가 해방 이후 재일조선인문학에서 국가로부터 배제된 이들의 자기-재배치 모색과도 연결될 수 있음을 언급했다. 끝으로, 자기번역의 결과이기도 한 이 저작은 ‘조선문학’과 ‘한국문학’의 관계를 새롭게 성찰하게 하며, 식민지-제국과 분단-냉전이라는 체제 전환을 가로지르는 연속성과 단절 속에서 한국문학·조선문학·재일문학·북한문학의 새로운 관계 설정을 탐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reviews Tsuyoshi Kagemoto’s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the People (Shumpūsha, 2024), reassessing modern Korean literature through “the people.” Drawing on Marx’s “relative surplus population,” Kagemoto frames the people as a relational formation and highlights writer transformation through encounters with them. Key concerns are the post-March First intellectual crisis, efforts at horizontal relations, and moves beyond the didacticism of proletarian literature via nonpartisan encounters. The book also follows Koreans in Japan to expose racial hierarchies and shows wartime mobilization recasting the “proletariat” as the “nation,” enabling the utilitarian “re-placement” of what had been deemed “waste.” This article centers on movement (shifting representational strategies) and re-placement (positional changes under mobilization). Re-placement—especially in Yi Ki-yŏng’s fiction—clarifies changing value and status in the wartime regime. It further notes echoes in post-liberation Zainichi literature, where marginalized subjects sought self-re-placement beyond the state, and uses the book’s partial self-translation to reconsider ties between “Chosŏn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alongside Zainichi literature, across colonial-imperial and division-Cold War continuities and ruptures.

목차

1. 지금, 여기서 민중을 다시 묻는다는 것
2. 식민지 조선 민중의 문학적 계보 : 3·1운동, 프롤레타리아, 이민, 동원
3. 운동성과 재배치에 대한 물음 : 감각의 혁명과 동원의 논리 사이 또는 너머
4. 결론을 대신하여 : ‘만남’과 ‘변화’로서의 민중 다시 쓰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은애(Eunae Cho). (2025).민중을 감각하게 만드는 문학: 影本剛, 『近代朝鮮文学と民衆―三·一運動, プロレタリア, 移民, 動員)』(春風社, 2024). 동방학지, (), 45-66

MLA

조은애(Eunae Cho). "민중을 감각하게 만드는 문학: 影本剛, 『近代朝鮮文学と民衆―三·一運動, プロレタリア, 移民, 動員)』(春風社, 2024)." 동방학지, (2025): 4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