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An” (按) Annotations in Shin Jak’s Si Chago : Focusing on the 160 Poems of the Guofeng Section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안명진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90집, 119~1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 후기 학자 申綽(申綽, 1760-1828)의『詩次故』에 나타난 ‘-按’注 형식과 해석적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詩次故』는 『詩經』 전편을 주석한 저술로, 주자학 중심의 해석을 따르지 않고, 周·秦·漢·唐의 문헌 약 300종을 인용하여 실증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詩次故』 중 「國風」 160수에 수록된 188건의 ‘按’ 표현을 전수 조사한 뒤, 다섯 가지 표현 형식 (綽按, 又按, 綽謂, 謹按, 按)과 여섯 가지 해석 기능 유형(주장, 중립적 서술, 부연 설명, 비교·대조, 비판, 유보)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작안’은 188이건 중 156건(83%)의 압도적인 빈도로 등장하며, 이 가운데 ‘주장’ 유형이 61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서 ‘중립적 서술’과 ‘부연 설명’이 각각 56건, 24건이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 申綽이 기존 해석을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고, 다수의 인용 문헌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해석을 조심스럽고 체계적으로 펼쳐 나갔다는 점을 볼 수 있었다. 나아가 이는 주자학 중심의 해석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과 판단의 가능성을 열어두려는 태도이며, 당시 조선 후기 학문이 점차 더 자유롭고 실증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annotation style and interpretive function of the “-An (按)” expressions found in Si Chago (詩次故), authored by Shin Jak (申綽, 1760-1828), a prominent Confucian scholar of late Joseon Korea. Si Chago is a comprehensive comment ary on the Book of Songs (Shijing, 詩經) that deliberately distances itself from the NeoConfucian orthodoxy of Zhu Xi, instead referencing over 300 sources from the Zhou, Qin, Han, and Tang dynasties to develop a philologically grounded interpretation. Focusing on 188 instances of “-An” expressions in the 160 poems of the Guofeng (國風) section, this study categorizes them into five stylistic forms—Jak-An (綽按), You-An (又按), Jak-Wei (綽謂), Jin-An (謹按), and An (按)—and further classifies their interpretive functions into six types: assertion, neutral explanation, elaboration, comparison/contrast, critique, and res ervation. Among these, Jak-An appears in 156 cases (83%), with “assertion” (61 cases), “neutral explanation” (56), and “elaboration” (24) as the most frequent functions. These fi ndings demonstrate Shin Jak’s critical and independent interpretive stance, as he carefully engaged with inherited commentaries while offering his own systematic insights. His ann otation strategy reflects a scholarly posture that moves beyond the authoritative boundarie s of Neo-Confucian hermeneutics, opening space for diverse perspectives and evidence-ba sed interpretation—hallmarks of the intellectual transformation in late Joseon Confucianis m.
목차
Ⅰ. 서론
Ⅱ. 申綽과 『詩次故』
Ⅲ. 『詩次故』 속 ‘-按’注
Ⅳ. 결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國際中文敎育中文水平等級標準』에 기반한 중국어 교재 문법 항목 적절성 분석
- 李善注《文選》引《論語讖》芻議
- 假设关系连词“如果”的中韩对比研究 - 结合韩语母语者中介语偏误分析
- 병렬코퍼스를 활용한 중·한 대조 분석 試探 - 중국어 부정부사 ‘不’, ‘沒’의 한국어 대응양상 실례를 중심으로
- 현대중국어의 유사 의미를 갖는 VC구조 연구 - 보어 ‘到’와 ‘见’을 중심으로
- 申綽 『詩次故』 속 ‘-按’注 에 대한 小考 - 『國風』 160수를 중심으로
- “一带一路”视角下的中国典籍外译之路 - 基于《红楼梦》双关语的日译考察
- 浅析CCTV纪录片《三坊七巷》 运用文化记忆构建国家认同
- 龙母圣会幡旗图像学分析 - 以山东威海文登地区的龙母信仰为例
- 于莲客艺术活动初考
- 跨文化传播视阈下韩中真人秀综艺发展策略研究 - 以〈Running Man〉和〈奔跑吧〉为例
- 중국인문과학 제90집 목차
- 『孔子聖迹之圖碑』 硏究
- 해방 이전 간도·만주 조선인 음악의디아스포라 정체성 연구 - 역사적 전환점과 시대적 양상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