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Transition from Literary Landscape to Literary Tourism through the Lens of Sense of Place : The Case of Yangzhou, China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스위양(Yu-Yang Si) 박병선(Byung-Seon Park)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1輯, 445~4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Yangzhou (扬州) has long been a poetic muse for Chinese literati (文人骚客) throughout history. Its urban image has been gradually shaped and enriched through generations of poetic writings and recitations, which have endowed the city with a distinctive cultural atmosphere. Famous lines such as “To Yangzhou in misty March blossoms (烟花三月下扬州)” and “Twenty-four bridges with moonlit night (二十四桥明月夜)” have not only constructed the cultural memory of Yangzhou, but also contributed to shaping the public’s travel expectations and spatial imagination of the city. In recent years, these literary images have been increasingly transformed into tangible, visitable cultural landscapes,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Yangzhou’s tourism experience.
This paper is grounded in YiFu Tuan’s(段义孚) theory of Sense of Place and examines how Yangzhou revitalizes its classical poetic heritage to promote literary tourism. Focusing on the intersection of literary landscapes and urban space, the study investigates how literature actively participates in shaping the city’s image, evoking a sense of local identity, and energizing cultural tourism. The findings suggest that Yangzhou, as a representative “poetic city,” presents a unique and locally grounded model for integrating literature into everyday urban life— offering valuable insights for other cultural cities seeking to merge cultural heritage with tourism development.
영문 초록
中国扬州自古便是文人吟咏的对象,城市形象在诗词的浸润与代代传诵中不断沉淀, 也由此形成了独特的文化气质。像“烟花三月下扬州”、“二十四桥明月夜”这样的诗句,不 仅增添了扬州的文化记忆,也塑造了大众对这座城市的旅游期待与空间想象。近年来,这 些文学意象正在转化为可感、可游的文化地景,成为城市观光的重要组成部分。本文以段 义孚的“地方感”理论为基础,从文学地景与城市空间的角度出发,探讨扬州如何激活在地 诗词文化遗产,并以此推动文学观光的发展。文章关注文学如何参与城市形象的塑造,唤 起地方认同感,激发文化旅游的活力。研究发现,扬州作为典型的“诗意型城市”,它不仅 展现出文学与城市结合发展的独特思路,也为其他文化城市提供了可参考的经验样本。
목차
1. 绪论
2. 先行研究与理论背景
3. 研究方法
4. 扬州文学观光的观察与案例分析
5. 结论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文旅融合视域下中国民乐类非遗项目的艺术管理研究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제91집 목차
- 儒家思想下河南大调曲子的传承与思考 ——基于文化基因与音乐形态的双重维度
- 한국인 학습자 오류 분석 기반 『等级标准(初等)』 문법 항목의 비판적 적용 연구
- 지각과 산출의 상호작용을 통해 본 표준중국어 음성 단서 통합 양상
- 教师专业学习共同体及教师情绪智能 对教师工作投入的影响机制研究 ——聚焦中国大学教师
- 探究陶渊明「桃花源记」与「桃花源诗」的关系问题 ——暨中国古代文体认知问题的探讨
- 항만창고에서 문화예술 중심지로 - 보얼예술특구의 공간재생 전략과 시사점
- 의사소통중심 입력에 기반한 TPRS 중국어 교수법 연구 - 중국학계의 TPRS 적용 사례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 韩国汉语二语学习者初等手写汉字笔画书写研究
- 중국어 ‘의문사+VP+了’ 구문의 화용 의미 분석 - ‘是……的’ 구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金甁梅』 욕망 전환 연구 - 불교 신앙을 중심으로
- 『太平廣記』 「水族」類 水怪의 變身 연구
- 『태평광기』 여성귀신 서사분석 - 인귀연애형과 파괴응징형을 중심으로
- 基于“地方感”理论分析文学地景到文学观光的经验 以中国扬州为例
- 自由贸易试点区政策对劳动力市场的影响 ——来自中国的准自然实验设计
- 갈레온 무역과 중국계 메스티소의 사회문화적 영향
- 포스터 부인의 An English and Chinese pocket dictionary, in the Mandarin dialect(1893) 연구 - 체재와 음운체계를 중심으로
- 在韩中国留学生教育需求与职业导向研究 ——以外国留学生专属学部构建为视角的初步探索
- 중국의 BL 콘텐츠 규제와 중국 BL 팬덤의 대응 - 전술적 대응과 ‘하위 공론장’ 형성을 중심으로
- 비자면제(免簽) 정책 이후 미디어 내 중국 이미지에 대한 인식변화 - 유튜브 중국여행 동영상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李白咏侠诗视角下的生命意识
- 宋初皇权授受问题新解 ——五代遗存与继承理论
- 场域理论视角下审视文化导向型城市的社会空间更新 ——常州市青果巷历史文化街区为例
- 기억의 파편에서 치유의서사로 - 杨绛의 『我们仨』에 나타난 상실과 윤리적 응답
- 만청(晩淸) 시기 국수주의(國粹主義) 사상의 전개 - 문화와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