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rom Fragments of Memory to Narratives of Healing : Loss and Ethical Response in Yang Jiang’s We Three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고혜림(Hye-Lim Koh)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1輯,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양쟝(杨绛)의 산문 『우리 셋(我们仨)』에 나타난 가족 상실 서사가 트라우마 기억을 어떻게 문학적으로 재현하고 치유 담론으로 전환되는지를 분석한다. 리쾨르의 ‘내러티브 정체성’과 트라우마 서사의 ‘시차적 반복, 간접 서술’을 복합 적용하여 꿈, 은유, 침묵 등 미학적 장치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 상실은 회고를 통해 공적 윤리로 승화되며 기억의 사회화를 이끄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고는 중국 현대문학에 있어서의 트라우마 연구에 해석학적 분석틀을 제공함으로써상실 서사의 윤리적,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였다. 또한 단일 텍스트 집중 분석의 제한을 인정하면서도 동일 이론 틀을 여성 작가간 비교 연구로 확장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독자 수용 연구와 디지털 매체를 통한 기억 정치학 탐구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Yang Jiang’s memoir We Three transforms a narrative of family loss into an ethical discourse of trauma and healing. Combining Paul Ricoeur’s concepts of “narrative identity” and “re‐contextualization of meaning” with trauma narrative theory—particularly the devices of temporal dislocation, indirect narration, and repetitive imagery—the study conducts a close reading of the text’s metaphorical network, temporal structure, and strategic silences. The analysis reveals that personal loss is elevated to a public act of witnessing, while distorted time and shifting space facilitate the socialization of memory. By demonstrating how metaphor, repetition, and silence realize the ethical dimension of memory, the study offers a hermeneutic framework applicable to contemporary Chinese trauma literature. Although limited to a single text, the findings open avenues for comparative research across female authors and suggest further work on reader reception and digital memorial politics.
목차
1. 서론
2. 트라우마 기억의 서사적 전환과 윤리적 응답
3. 『我们仨』에 나타난 트라우마 기억의 서사 전략
4. 기억과 치유의 문학적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文旅融合视域下中国民乐类非遗项目的艺术管理研究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제91집 목차
- 儒家思想下河南大调曲子的传承与思考 ——基于文化基因与音乐形态的双重维度
- 한국인 학습자 오류 분석 기반 『等级标准(初等)』 문법 항목의 비판적 적용 연구
- 지각과 산출의 상호작용을 통해 본 표준중국어 음성 단서 통합 양상
- 教师专业学习共同体及教师情绪智能 对教师工作投入的影响机制研究 ——聚焦中国大学教师
- 探究陶渊明「桃花源记」与「桃花源诗」的关系问题 ——暨中国古代文体认知问题的探讨
- 항만창고에서 문화예술 중심지로 - 보얼예술특구의 공간재생 전략과 시사점
- 의사소통중심 입력에 기반한 TPRS 중국어 교수법 연구 - 중국학계의 TPRS 적용 사례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 韩国汉语二语学习者初等手写汉字笔画书写研究
- 중국어 ‘의문사+VP+了’ 구문의 화용 의미 분석 - ‘是……的’ 구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金甁梅』 욕망 전환 연구 - 불교 신앙을 중심으로
- 『太平廣記』 「水族」類 水怪의 變身 연구
- 『태평광기』 여성귀신 서사분석 - 인귀연애형과 파괴응징형을 중심으로
- 基于“地方感”理论分析文学地景到文学观光的经验 以中国扬州为例
- 自由贸易试点区政策对劳动力市场的影响 ——来自中国的准自然实验设计
- 갈레온 무역과 중국계 메스티소의 사회문화적 영향
- 포스터 부인의 An English and Chinese pocket dictionary, in the Mandarin dialect(1893) 연구 - 체재와 음운체계를 중심으로
- 在韩中国留学生教育需求与职业导向研究 ——以外国留学生专属学部构建为视角的初步探索
- 중국의 BL 콘텐츠 규제와 중국 BL 팬덤의 대응 - 전술적 대응과 ‘하위 공론장’ 형성을 중심으로
- 비자면제(免簽) 정책 이후 미디어 내 중국 이미지에 대한 인식변화 - 유튜브 중국여행 동영상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李白咏侠诗视角下的生命意识
- 宋初皇权授受问题新解 ——五代遗存与继承理论
- 场域理论视角下审视文化导向型城市的社会空间更新 ——常州市青果巷历史文化街区为例
- 기억의 파편에서 치유의서사로 - 杨绛의 『我们仨』에 나타난 상실과 윤리적 응답
- 만청(晩淸) 시기 국수주의(國粹主義) 사상의 전개 - 문화와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