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태평광기』 여성귀신 서사분석 - 인귀연애형과 파괴응징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Female Ghost Narratives in Taiping Guangji : Focusing on the Human-Ghost Romance and Vengeful Retribution Types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정혜원(Hye-Weon Jeong) 최진아(Jin-A Choi)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1輯, 347~37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태평광기』 ‘鬼部’의 여성귀신 고사를 ‘인귀연애형’과 ‘파괴응징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했다. 인귀연애형은 인간과 귀신의 정서적 교류와 사랑의 지속성을 중심으로, 파괴응징형은 억울한 죽음을 겪은 귀신의 복수와 사회질서 전복을 특징으로 한다. 두 유형이 중첩된 서사에서는 감정의 대상에서 응징의 주체로 전환되는 ‘감정적 전이 구조’가 나타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여성귀신 서사가 당대의 정서 구조와 젠더 질서를 반영하는 문화적 상징체계임을 밝히고, 여성귀신을 정서와 응징의 주체로 재해석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향후 동시대 설화 및 타 문헌과의 비교를 통해 귀신 서사의 문학적, 문화사적 함의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narratives of female ghosts in the “Ghost Section (鬼 部)” of Taiping Guangji, focusing on their narrative functions and the unfolding of affective structures within the tales. The selected stories are categorized into two primary types: the “Human-Ghost Romance Type” and the “Vengeful Retribution Type”. The former explores emotional connections between humans and ghosts, highlighting themes such as enduring love and the transcendence of desire beyond death. The latter, by contrast, revolves around acts of vengeance or seduction, symbolizing the eruption of repressed desires and the disruption of patriarchal social order. Especially notable are stories where the two types intersect—instances in which affection transforms into destruction, and the ghost transitions from an emotional partner to an agent of punishment. This typological analysis reveals that these tales function as cultural texts reflecting the affective and gendered ideologies of the time. Female ghosts are not passive figures but emerge as emotionally engaged and morally motivated agents who actively shape the narrative. This study offers a systemat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curring motifs in female ghost narratives and suggests potential for broader comparative research across literary and cultural traditions.

목차

1. 서론
2. 『태평광기』 여성귀신 서사 유형화와 분석 틀
3. 『태평광기』 여성귀신 서사의 의미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혜원(Hye-Weon Jeong),최진아(Jin-A Choi). (2025).『태평광기』 여성귀신 서사분석 - 인귀연애형과 파괴응징형을 중심으로.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 347-374

MLA

정혜원(Hye-Weon Jeong),최진아(Jin-A Choi). "『태평광기』 여성귀신 서사분석 - 인귀연애형과 파괴응징형을 중심으로."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2025): 347-3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