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Metamorphosis of Water Monsters in the Water Creatures (水族) Section of Taiping Guangji (太平廣記)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강병관(Byong-Kwan Kang)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1輯, 313~34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태평광기(太平廣記)』「수족(水族)」류 수괴(水怪)에 대한 후속 연구이자, 수괴의 주요 능력인 ‘변신(變身)’에 대한 심화 연구이다. 주요 텍스트는 「수족」류 9권(권464∼권472)에 수록된 179편의 이야기이다. 우선 변신의 분포 상황 및 변신 전후의 존재 형태에 따른 변신의 유형과 의미를 개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이야기의 실제 내용에 근거하여 변신의 발생 조건과 변신의 목적, 변신의 과정 및 지속과 해제등으로 구분하여 변신의 원리와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고대 수괴의 세계관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변신이라는 장치 속에 들어있는 고대 중국인의 문화적 경험과 상상력의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이는 고전의 활용 가치를 높여 현대적 의의를 더하는 작업일 뿐 아니라, 중국 해양문화의 역사적 연원과 시대적 특징을탐색하고, 해양문화콘텐츠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드는 성과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uilds upon previous research on water monsters (水怪 shuigui) featured in the “Aquatic Creatures(水族 shuizu)” section of the “Taiping Guangji (太平廣記)”, and presents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ir most prominent supernatural ability―transformation. These mythical beings, which inhabit rivers, lakes, and seas, possess the power to alter their form and identity, often interacting with humans in mysterious or threatening ways.
The primary sources for this study are 179 stories compiled in volumes 464 to 472 of the Shuizu category. The research begins by surveying the distribution of transformation motifs throughout the collection and classifying the types and meanings of metamorphosis based on the entities’ states before and after transformation. Building on this framework, the analysis then explores transformation in terms of its conditions of occurrence, underlying motivations, narrative processes, and the continuity or dissolution of its effects.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reconstructs the worldview surrounding ancient Chinese shuigui, and sheds light on how transformation reflects the cultural imagination and ontological perspectives of early Chinese society. Transformation is shown not merely as a fantastical device, but as a culturally encoded narrative structure expressing tension between nature and humanity, the familiar and the unknown.
Ultimately, this research enhances the relevance and interpretiv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in a modern context. It also contributes to broader understandings of the historical roots and evolving characteristics of Chinese maritime culture. Moreover, the findings offer meaningful insights for contemporary applications, particularly in enriching the content and creative strategies of maritime-themed cultural media such as animation, games, webtoons, and exhibitions.
목차
1. 들어가며
2. 변신의 분포 상황과 변신의 유형
3. 변신의 원리와 메커니즘
4.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文旅融合视域下中国民乐类非遗项目的艺术管理研究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제91집 목차
- 儒家思想下河南大调曲子的传承与思考 ——基于文化基因与音乐形态的双重维度
- 한국인 학습자 오류 분석 기반 『等级标准(初等)』 문법 항목의 비판적 적용 연구
- 지각과 산출의 상호작용을 통해 본 표준중국어 음성 단서 통합 양상
- 教师专业学习共同体及教师情绪智能 对教师工作投入的影响机制研究 ——聚焦中国大学教师
- 探究陶渊明「桃花源记」与「桃花源诗」的关系问题 ——暨中国古代文体认知问题的探讨
- 항만창고에서 문화예술 중심지로 - 보얼예술특구의 공간재생 전략과 시사점
- 의사소통중심 입력에 기반한 TPRS 중국어 교수법 연구 - 중국학계의 TPRS 적용 사례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 韩国汉语二语学习者初等手写汉字笔画书写研究
- 중국어 ‘의문사+VP+了’ 구문의 화용 의미 분석 - ‘是……的’ 구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金甁梅』 욕망 전환 연구 - 불교 신앙을 중심으로
- 『太平廣記』 「水族」類 水怪의 變身 연구
- 『태평광기』 여성귀신 서사분석 - 인귀연애형과 파괴응징형을 중심으로
- 基于“地方感”理论分析文学地景到文学观光的经验 以中国扬州为例
- 自由贸易试点区政策对劳动力市场的影响 ——来自中国的准自然实验设计
- 갈레온 무역과 중국계 메스티소의 사회문화적 영향
- 포스터 부인의 An English and Chinese pocket dictionary, in the Mandarin dialect(1893) 연구 - 체재와 음운체계를 중심으로
- 在韩中国留学生教育需求与职业导向研究 ——以外国留学生专属学部构建为视角的初步探索
- 중국의 BL 콘텐츠 규제와 중국 BL 팬덤의 대응 - 전술적 대응과 ‘하위 공론장’ 형성을 중심으로
- 비자면제(免簽) 정책 이후 미디어 내 중국 이미지에 대한 인식변화 - 유튜브 중국여행 동영상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李白咏侠诗视角下的生命意识
- 宋初皇权授受问题新解 ——五代遗存与继承理论
- 场域理论视角下审视文化导向型城市的社会空间更新 ——常州市青果巷历史文化街区为例
- 기억의 파편에서 치유의서사로 - 杨绛의 『我们仨』에 나타난 상실과 윤리적 응답
- 만청(晩淸) 시기 국수주의(國粹主義) 사상의 전개 - 문화와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