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항만창고에서 문화예술 중심지로 - 보얼예술특구의 공간재생 전략과 시사점

이용수  0

영문명
From Port Warehouses to a Cultural and Artistic Hub : Spatial Regeneration Strategies of the Pier-2 Art Center in Kaohsiung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김성민(Sung-Min Kim)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91輯, 49~7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타이완 가오슝의 보얼예술특구를 중심으로, 유휴공간의 문화예술적 재생전략과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보얼예술특구는 과거 항만창고였던 공간을 문화예술중심지로 전환하면서 민관협력, 지역주민의 참여, 정책적 지원,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 등 복합적 전략을 통해 공간 또는 도시재생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현지조사,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특구의 공간재생 과정에서채택된 주요 전략과 정책 요인을 분석하고, 공간 전환이 지역사회에 미친 사회적·문화적 영향, 그리고 타도시 재생 모델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특구는 역사적 유산을 현대적 문화콘텐츠로 재해석하여 도시 브랜드를 강화하고, 주민참여를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 문화생태계를 조성했으며, 국제교류를 통해 글로벌 예술 허브로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유사한 도시재생 프로젝트에서 역사성, 참여성, 국제성을 결합한 다층적 전략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향후 동아시아 도시재생 담론과 실천에 유용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the Pier-2 Art Center in Kaohsiung, Taiwan, analyzing the strategies and implications of utilizing cultural and artistic regeneration of idle spaces to enhance urban identity and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Originally a port warehouse, the Pier-2 Art Center has been transformed into a cultural and artistic hub through multifaceted strategies, including public-private collaboration, community participation, policy support, and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networks. Drawing on literature review, field research, and stakeholder interviews, this study identifies the key strategies and policy factors involved in the regeneration process of Pier-2 and explores the socio-cultural impacts of spatial transformation on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its implic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models in other citie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Pier-2 Art Center has successfully reinterpreted historical assets into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 to strengthen the city‘s brand, fostered a sustainable local cultural ecosystem through active resident participation, and positioned itself as a global arts hub via international exchanges. This cas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 multilayered strategy that integrates historical significance, community engagement, and global connectivity,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simila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East Asia and beyond.

목차

1. 머리말
2. 관련 개념 또는 이론 논의
3. 보얼예술특구의 형성과 발전
4. 보얼예술특구의 운영전략, 효과 및 시사점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민(Sung-Min Kim). (2025).항만창고에서 문화예술 중심지로 - 보얼예술특구의 공간재생 전략과 시사점.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 49-72

MLA

김성민(Sung-Min Kim). "항만창고에서 문화예술 중심지로 - 보얼예술특구의 공간재생 전략과 시사점."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2025): 49-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