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ression of miRNA-125 Target Proteins Induced by Hypoxia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Cell Line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심상봉(Sang Bong Shim) 박부연(Bu-Yeon Park) 김은재(Eun-Jae Kim)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3 No.1, 203~20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난소암의 발생률 증가와 함께 조기 예측의 어려움과 불량한 예후가 난소암의 조기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난소암의 예후와 관련된 새로운 바이오마커의 발견이 중요하며, 이는 새로운 분자 표적 치료법 개발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저산소 상태에서 유도된 miRNA-125가 상피 난소암에서 악성도를 높이는 4EBP1 단백질 관련 발현 패턴 및 VEGF 조절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다. 난소암 세포주에서 miRNA 치료 후 전이 여부를 확인한 결과, miRNA-125가 4EBP1 의존적 조절에 관여함을 발견하였으며, 저산소 상태에서 miRNA-125가 4EBP1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Western blot 결과는 저산소 환경에서 전사 인자인 HIF-1이 반응하며, miRNA-125a와 miRNA-125b의 전사가 저산소 상태에서 조절된다는 것을 제시했다. 또한, miRNA-125가 4EBP1 단백질의 표적임을 알 수 있었다. 각 표적 인자가 조절됨을 보여주며, miRNA-125가 난소암의 중요한 과정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miRNA-125가 난소암의 새로운 치료 타겟이 될 가능성을 제시하며, 저산소 상태에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영문 초록
A long with the increase in ovarian cancer incidence, difficulties in early prediction and poor prognosis of ovarian cancer are further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new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technologie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ovarian cancer biomarkers is increasing because the discovery of new biomarkers on ovarian cancer prognosis could be the possibility of new molecular target therapy. Western blot results showed that the transcription factor HIF-1 responded to the hypoxia environment and suggested that the corresponding transcription of miRNA-125a and miRNA-125b was miRNA-125 regulated in hypoxia in ovarian cancer, and that miRNA-125 was a target for protein 4EBP1. In epithelial ovarian cancer cell lines, the expression of miRNA-125a or miRNA-125b target proteins is significantly more dependent on hypoxia than normoxia and each target factor is down-regulated, indicating that miRNA-125 is the most important process of cancer.
목차
1. 서론
2. 연구배경
3. 결과
4.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학업스트레스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구강해부학 수업에서 태블릿을 이용한 가상해부에 따른 학습몰입도, 만족도 및 이해도 평가
-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 감수성 및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플립러닝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DACUM기법을 이용한 재가장기요양기관 창업간호사 직무분석
- 운수사고 환자의 중증도 위험요인 규명을 통한 권역외상센터 확대 제안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개인-환경 적합성 군집에 따른 조직성과 차이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사망 현황 분석
- 기계학습과 딥러닝을 활용한 당뇨병 조기 예측 모델 개발 및 최적화 연구
- 비수도권 입원환자의 수도권 입원 의료이용에 미치는 요인
- 동영상 활용설명 교육이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입원환자의 질병지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좋은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 두경부마사지가 중년여성들의 뇌 기능 활성 및 스트레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
- 블로워 시스템 기반의 다기능 호흡 모듈 사용적합성 총괄평가
- 춤 프로그램이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문헌고찰
- GPT-4o와 GPT-o1의 치과위생사 국가시험 성능 비교 연구
-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가 치위생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프로젝트 기반 통합간호 수업 운영 사례 및 만족도 조사
- 상피성 난소암 세포주에서 Hypoxia에 의해 유도되는 miRNA-125 표적 단백 발현
- 국가암검진 성과모니터링에 대한 사례 고찰
- 초심자를 대상으로 전문 기도유지 기구들의 일회 환기량과 삽관 시간 비교
- 보건의료 전공생과 비보건계열 여대생의 헬스 리터러시와 e-헬스 리터러시의 비교 연구
- 일지역 기혼여성의 노동 및 젠더 요인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인문학 시각을 반영한 동서양의 웰에이징(Well-aging) 개념 비교 연구
- 노인체험복 착용을 통한 간호대학생의 노인이미지에 관한 연구
- 노인의 구강관리, 구강증상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